목록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61)
역사로 보는 세상

Ⅲ-1. 4) 경제수탈과 민중의 생활 1910년대 일제의 경제 수탈 * 토지조사사업(1910-1918) why 표면적: 근대적 등기제도 실시를 통한 소유권 보호, 토지 생산력 강화, 공정 지세 등 실상: 일본인토지 소유 합법화, 식민 통치 기반 확고히 하기 위해(토지 약탈 목적) how 1910.9 임시 토지 조사국 설치 1912 토지 조사령 공포 → 신고주의 원칙 : 토지 소유권 주장하고자 하는 이들은 조선총독이 정한 기간에 필요 서류 구비하여 토지를 신고하도록 규정 but 한국농민- 토지에 대한 법적 개념 미비 소유권 분명치 않은 토지 많았음(공유지, 경작지 등) 신고기간 짧고 절차 복잡 일본 시책에 비협조하려는 민족감정 1918 토지조사사업 끝남 result 농민 소유였던 농토, 미신고지 공공기관(..

Ⅲ-1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1930년대 이후: 민족말살 통치 -시행 배경: 일본 내 다이쇼 데모크라시 끝나고 파시즘으로 전환하는 시기 세계공황 여파로 일본의 독점자본주의가 돌파구 찾기 위해 대륙침략 본격화(31년 만주사변) -내용: 군대 증강 경찰력 강화 비밀고등경찰, 헌병스파이, 경방단(경찰 보조기관) 등 설치 1936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 1941 조선사상범 예방 구금령 : 민족운동, 사회주의 운동 전개한 사람들 재판없이 구금할 수 있는 법 1937 조선중앙정보위원회-개인정보 수집 1938 조선방공협회- 공산주의 박멸 1938 시국대응전선 사상 보국연맹 → 확대: 1941 대화숙 전쟁에 동원 1938 지원병제 1939 징용령 1943 학도지원병제 1944 징병제 국민생활 통제 1938 국..

Ⅲ-1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1920년대 : 문화통치 - 시행배경: 3.1운동 탄압 이후 나빠진 국제 여론 일본 내부 다이쇼 데모크라시 3.1운동 - 구호: 조선에서의 문화의 발달과 민력의 충실 - 3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 부임 내용 실상 1. 조선 총독 자격- 문관도 임명될 수 있도록 함 이후 총독들 모두 육해군 대장출신 2. 헌병경찰을 보통 경찰로 바꿈 경찰관서 5배, 경찰수 4배 증가 3. 언론출판결사의 자유 부분적 허용 제한된 범위 내에서 활동하도록 유도 제한된 범위 넘은 경우 가혹한 처벌 1925 치안유지법- 사상통제, 지식인 학생 감시 4. 한국인의 교육 기회 확대: 1922 제2차 조선교육령 일본어 시간 증가/ 조선어 시간 축소 일본 역사 지리 시간 증가 초등 실업교육 증가 고등 ..

Ⅲ-1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1910년대 : 헌병경찰통치, 무단통치 시행 헌병경찰통치 1910. 9.10 시행 군대 경찰 헌병이 경찰을 지휘하여 일반경찰업무에 관여(헌병사령관-경무총감) 경찰일반업무, 검사 사무대리, 범죄 즉결처분, 민사소송조정, 산림감시, 징세 사무협조, 일반행정사무 합방 반대운동이 치열했기 때문에 실시함(이는 군사적 점령임을 반증함) cf) 합방 이전- 1907 헌병경찰제도 시작(도시에 집중 배치) 합방 이후- 분산배치제(농촌 지방까지 전국에 배치) 제령 제10호 범죄즉결례 재판없이 3개월 이하 징역, 구류처분, 100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즉결처분권 제령 제13호 조선태형령 갑오개혁 이후 폐지된 태형 부활 경찰범처벌규칙 (1912) 1908 경찰범 처벌령 강화, 한..

Ⅲ-1 2) 일제의 침략과 국권피탈 - 조선총독: 일본군 현역 육군대장, 해군대장 중에서 뽑음. 일왕 직속(일본 내각의 통제 받지 않음) 조선의 입법, 행정, 사법, 군대 통수권 장악 조선 총독의 명령: 제령이란 이름으로 시행 육군 2개 사단(19사단(나남/ 북부), 20사단(용산/ 중남부)), 해군부대(진해, 영흥 해군요새 사령부) 한반도 요지에 주둔 cf)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 정무총감: 행정사무 총지휘/ 경무총관: 치안담당, 헌병사령관 겸임 - 식민통치기구: 처음 6부- 6국 6과 설치 → 확대 재판소, 조선은행, 철도국, 전매국, 임시토지조사국 등 억압기구, 수탈기구 설치 중추원: 의장: 정무총감 자문기관, 친일한국인 다수 임명 의사규칙- 정무총감 허가없이 발언할 수 없음/ 같은 사항..

Ⅲ.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1. 일제의 식민통치와 민족의 수난 1) 20세기 전반의 세계 2)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4) 경제수탈과 민중의 생활 5) 전쟁 동원과 군위안부, 징용 노트 정리 팁) 새로운 대단원이 들어갈 때 노트 앞부분에 대단원 내용을 먼저 정리하여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합니다 Ⅲ-1 2) 일제의 침략과 국권피탈 - 러일전쟁 배경 청일전쟁(94.6-95.4) 이후 시모노셰키조약(한국에 대한 우위권 확인, 요동반도 점령) → 러, 프, 독 삼국간섭(우위권 위협, 요동 반환) →일: 1902 영국- 영일동맹(영국- 러시아 남하 견제) 러: 청과 조선에 대한 영향력 확대 1896 동청 철도부설권 이양 1898 요동반도 여순, 대련 조차 18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