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61)
역사로 보는 세상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3) 항일의병 전쟁의 전개- 을미, 을사, 정미, 호남, 의열항일투쟁 1. 을미의병 what 을미의병 who 유생 + 농민, 동학 잔여 세력 가담 대표적: 유인석, 이소응, 허위 when 1895 why 명성왕후 시해(을미사변)로 분노 을미개혁- 단발령에 반발 how 초기 유생이 주도 : 이들 조선 지배체제 유지, 봉건적, 위정척사 사상 이후 농민과 동학 잔여 세력 가담: 반외세 반봉건 지향 → 갈등 → 해산 1) 아관파천 이후 친일정권 무너지고 단발령이 철회됨 2) 고종이 해산 명령하자 스스로 해산 → 이후 농민 유민- 활빈당 조직, 영학당, 남학당(방성칠의 난 1898) 활빈당: 1900년 활동, 대한사민논설 13조목(제국주의 열강 경제 침탈 방지, 토지 균등 ..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활동 what 대한제국 선포 who 고종 when 96. 2 아관파천/ 97. 2 환궁 97. 10 황제 즉위 99. 8 대한국 국제 98 양지아문 설치 99 양전사업 시행 1901. 10 지계아문 설치 1901. 12 양전사업 중지 1904 일제에 의해 중단 why - 러, 일 간 세력 균형(96 베베르 고무라 각서, 로마노프 야마가다 의정서, 로젠니시 협정) - 여론: 근대 국가 체제 수립 열망 how 97.8 국호: 대한제국, 연호: 광무 10 환구단, 황궁우 지음, 황제 즉위 99. 8 대한국 국제 제정 : 대한제국의 정치는 만세불변의 전제정치, 황제의 무한함 강조 육해군 통수권, 입법 사법 행정 관리임명권, 조약체결권, 사신임명권..

오늘은 독립협회의 설립과 활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활동 노트 정리 팁) 독립협회 내용을 정리 할때, 색을 달리해서 활동 내용을 구분해보았습니다. 자유민권운동, 의회설립운동- 빨간 펜으로 자주국권운동- 파란 펜으로 what 독립협회 who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남궁억 등 + 정부 관료 등 대거 관여 when 96.4 독립신문 창간 96. 7 독립협회 조직 cf) 96. 2 아관파천 / 97. 2 환궁/ 97. 10 대한제국 수립 98. 2 서재필 중심 인사 -알렉셰예프 탁지부 고문으로 초빙한 것 비판 → 미국 출국 조치 98. 3 만민공동회 자유민권운동, 국민 참정 운동 98. 2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일본 석탄고 기지 반환 9..

노트 정리 팁) 중단원 하나를 들어갈 때, 소단원 내용을 적어놓으면 앞으로 공부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어 좋습니다 오늘은 Ⅱ-3 단원을 들어가므로 이렇게 상단에 정리해보았습니다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2)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활동 3) 항일의병 전쟁의 전개 4)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what 동학농민운동 who 동학교도+농민 why 1) 농민- 개항 이후 일본 상인들이 곡물 사들여 폭리 취함 → 곡물 유출, 인플레이션, 식량부족현상 2) 동학교도-1864 최제우 처형(혹세무민 명목) → 교조 신원운동: 1892. 7. 공주 - 조병식(충청 감사) 동학금지 과정에서의 폐단 금지 1892. 11. 삼례 1893. 2. 서울 복합상소 공주, 삼..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4) 근대 개혁의 추진 what 갑오개혁 when 1894. 7-12 1차 갑오개혁 1894. 12-95.5 2차 갑오개혁 1895. 6-96.2 을미개혁 why 대내적: 갑오농민군의 요구 - 노비문서 소각, 천인 대우 개선, 지벌 타파에 의한 인재등용, 무명잡세 폐지, 공사채 일체 무효화 대외적: 일본측의 강요- 일본 침략에 맞게 조선 행정, 사회경제 체제 개편 목적 how 갑오개혁 전개 1894. 6.11 교정청 설치 일본 경복궁 점령 → 제1차 김홍집 내각 성립 - 군국기무처 설치/ 민씨정권 붕괴, 흥선대원군 섭정 → 1차 갑오개혁(94.7-12) 정치: 왕실의 정부와 사무 분리 →의정부와 궁내부 나눔(의정부, 8아문 권한 강화/ 왕권 축소) 6조 →8아문(내..

오늘은 갑신정변과 조선중립화론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갑신정변 갑신정변 what 갑신정변 when 1884.10월 (양력12월) why 1)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 강화 -온건개화파: 현실 수용/ 급진개화파: 비판 2) 국가 재정난에 대해 뮐렌도르프-당오전 주조/ 김옥균-차관 도입 주장 하지만 일본에서 차관 도입 실패함 차관 도입 실패로 개화당 입지 위협 청-프전쟁 임박 → 청 군대 절반가량 철수 3) 정변의 기반 마련 - 홍영식 우정총국 총판, 서재필 조련국 사관장, 박영효 수어청/ 일본 지원 약속 how 10. 7 우정국 낙성 축하연 기회 →사대당 요인 살해 왕과 왕비를 창덕궁과 경우궁으로 옮김 →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정강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