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61)
역사로 보는 세상

Ⅳ-1.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2) 8. 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운동 - 전후 미군정과 소련정의 수립 미군(45. 9. 8 국내 진입, 9.9 하지- 아베 노부유키 항복 조인체결) : 미군정 선포 임시정부, 건국준비위원회, 인민공화국 활동 부정 일제 총독부체제 그대로 이용 친미 우익 정부 수립 → 한국민주당 중심 우익 세력 지원 소련(45. 8. 9 국내 진입) : 인민위원회 인정, 친일파 배제 민족주의 세력 강한 곳에 공산주의자 포함시켜 세력 균형 이루고자 함 하지만 결국 민족주의자 숙청, 김일성에게 힘 실어줌 - 전후 국내 정당 수립 시기 - 전후 국내 수립된 정당 특징 및 정책 건국준비위원회 45. 8. 15- 9.7 좌우 연합 성격 여운형, 안재홍, 조만식 등 치안대 설치, 145개 지부 조직 ..

Ⅳ-1.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2) 8. 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운동 1945. 8. 15 일본의 무조건 항복→ 독립 연합국 승리로 인한 독립이었기 때문에 강대국의 이해관계나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었음 전후 일본 상황 일본 침략전쟁 확대 41. 12월 태평양전쟁 도발 전쟁 초 싱가포르, 미얀마, 인도네시아까지 전선 확대(승세) but 연합국의 공격→ 패전의 길 미국: 일본 본토 폭격, 히로시마(45.8.6), 나가사키(45.8.9) 원자폭탄 투하 → 일본: 무조건 항복 면하기 위해 소련 중개로 삼고자 but 소련 이미 얄타회담으로 참전 결정(사할린 반환, 쿠릴열도 반환) → 일본 무조건 항복 전후 처리 관련 회담 주요 내용 카이로회담 43. 11.22-26 - 조선의 자유와 독립 보장(일..

식민사관 목적: 민족자긍심을 붕괴시키고 식민지배의 당위성 이끌어내고자 함 시행: 1916 조선반도사 편찬 위원회/ 중추원 산하 1922 조선사편찬 위원회/ 조선총독부 산하 1925 조선사 편수회/ 독립관청/ 정무총감 - 회장, 이완용 등 고문 내용 정체성론 사회경제 발달 단계 진전X 조선후기는 일본 고대 말기, 봉건사회의 부재 주장 → 일본의 조선 지배는 조선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대적인 것에서 근대적인 것으로 도약시켰다고 주장하는데 목적이 있음 타율성론 독자적 발전없이 중국, 몽골, 만주, 일본 등 주변 외세의 간섭과 힘에 역사 좌우됨 :고대- 일본 지배, 중세- 중국 여러나라 지배 청말 이후- 다시 일본의 지배 → 고대 한일관계로 돌아감 - 임나일본부설: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 남부 진출 ..

Ⅲ-4. 3)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농민운동 :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 농민 피해(고율의 소작료, 경작권 박탈, 지주제 강화) 1920년대 농민운동의 발전 :노동공제회, 소작인 조합 →노농총동맹 1927 조선농민총동맹(자작농 포함, 전국확대) 1923 암태도 소작쟁의: 소작료 낮추고자 → 초기 농민운동: 소작조건 개선 운동 → 점차 정치적 성격, 반제 투쟁으로 변화 →농민의 투쟁 격화(산미증식계획)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으로 확산 : 비합법적, 정치적 요구(일제타도, 제국주의 반대) +경제적 요구(소작조건 개선 수탈 반대, 일상적 이익과 관련된 요구) 한계) 통일된 역량 결집 X, 중앙지도부 부재 cf) 민족주의 계열- 문맹퇴치운동, 생활개선운동 → 농촌진흥운동(1932. 7월부터) 총독 ..

Ⅲ-4. 3)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노동운동 1920년대 식민지 공업화 정책(열악한 노동조건, 저임금),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 → 노동단체 등장 초기: 여러 직종 망라하는 합동 노동 조합 형태→ 점차 직업별, 산업별로 전환 1920년대 노동단체 1920 조선노동공제회: 전국 범위의 최초 노동자 단체, 노동자와 자본가의 협조에 의한 사회 개량 지향 1922 조선노동연맹회: 직업별 지역별 노동조합 연합체, 노동공제회보다 계급적 목표 뚜렷 1924 조선노농총동맹: 노동 공제회, 노동연맹회보다 계급적 성격 강화 전국의 노동자, 농민단체 거의 망라하여 결성 - 강령: 노농계급 해방, 자본가 계급과의 철저한 투쟁, 노농복리 증진 - 당면과제: 각지의 노동자 단체 조직, 노동자 계급 의식 고양, 8시간 노동제, 1일 ..

Ⅲ-4. 2) 민족협동전선 사회주의 - 1920년대 유입 1925년 조선공산당 결성 : 조선 노동 총동맹, 조선 농민 총동맹 기반/ 노동운동, 농민운동 전개 :재건과 와해 반복 → 1928년 해체 1918 공산당 한인지부(이르쿠츠쿠), 한인사회당(하바로브스크) 1921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상해파 고려공산당 -각각 발전, 1922 모두 해체 1923 국내- 국외 두 파 형식적으로 통합 고려국(코르부료) 성립 1925 조선공산당(극동총국 고려국 공작원+화요파, 북풍파) 고려 공산청년회(박헌영) 수립 1차 김재봉 2차 강달영 -6.10만세운동 추진 3차 김철수 등 - 정우회 선언 주도 4차 차금봉 → 12월 테제(1928), 9월 테제(1930) cf) 12월 테제: 한인사회주의 혁명 성격, 토지혁명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