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1930년대 이후 일제의 통치체제(민족말살통치)

by 오늘내일모레 2022. 5. 17.
728x90
728x90

Ⅲ-1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1930년대 이후:

민족말살 통치

 

-시행 배경: 

일본 내 다이쇼 데모크라시 끝나고 파시즘으로 전환하는 시기

세계공황 여파로 일본의 독점자본주의가 돌파구 찾기 위해 대륙침략 본격화(31년 만주사변)

 

-내용:

군대 증강
경찰력 강화

비밀고등경찰, 헌병스파이, 경방단(경찰 보조기관) 등 설치

1936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 1941 조선사상범 예방 구금령 
: 민족운동, 사회주의 운동 전개한 사람들 재판없이 구금할 수 있는 법

1937 조선중앙정보위원회-개인정보 수집
1938 조선방공협회- 공산주의 박멸
1938 시국대응전선 사상 보국연맹 → 확대: 1941 대화숙

전쟁에 동원
1938 지원병제
1939 징용령
1943 학도지원병제
1944 징병제 

국민생활 통제
1938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1940 국민총력조선연맹으로 개편)
: 10호 단위로 애국반 두고 국민생활 전반 통제
  일장기 게양, 궁성요배, 신사참배, 방공방첩 강요 

언론통제
1940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집회,결사의 자유- 허가제 

사상
황국신민화 정책(내선일체, 일선동조론)
1937 신사참배, 황궁요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조선어 사용 금지
1940 창씨개명 요구
 
728x90
- 동아신질서론(1938): 중일전쟁 중 주장
대내: 자본주의 대신 통제 경제 실시
대외: 제국주의 포기, 중국에 대한 식민지화 포기, 조선도 착취 압박에서 벗어날 것

- 대동아공영권 이론(1941): 태평양 전쟁기 독일 신질서론 모방/ 동남아시아 차지 합리화 

일본 제국주의적 침략 정당화하기 위한 명분이자 자원부족에 시달리던 일제가 더 거대한 블록경제 구축하고자 주장함/ 그러나 정복지에서 있었던 착취, 학살, 차별 등은 이런 이론이 기만이었음을 드러냄.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