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61)
역사로 보는 세상

Ⅲ-4. 1) 민족실력양성운동 민족 실력 양성운동: 3.1운동 이후 일부 지식인 가까운 장래에 일제로부터 독립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 사회개조. 신문화 건설 주장(선 실력양성, 후 독립) "일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실력 기르자" → 신교육 보급, 민족자본 육성, 전근대적 의식 관습 타파 등 - 실력 양성운동의 한계: 일제의 허용 범위 내에서만 전개 선실력 양성, 후 독립 표방 → 결과적으로 실력 양성만 강조하는 방향 1920년대 중반 이후 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은 자치 운동 주장 what 물산장려운동 who 김동인, 조만식, 오윤선 등 중심 서북지역 인사 when 1920 평양물산장려회 설립 1923 서울에 설립, 전국으로 확산, 23년에 절정 why - 조선기업가 일본인 자본가와 경쟁(일본 자본가- 자..

Ⅲ-3. 5)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 1935 한국국민당 1937 조선혁명당(지청천), 한국독립당(조소앙) → 한국광복운동단체 연합회 cf) 중국 관내 - 조선민족전선연맹(좌익 중심)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우익 중심) 1940 충칭 정착 5월 한국독립당- 김구 위원장 9월 한국광복군 창설 *한국광복군의 활동: 중국 군사위원회의 지휘받음 비정규전 수행(포로 심문, 문서 번역 등) 임정 -주석 중심제 개편 1941 한국독립당- 조소앙의 삼균주의 수용한 건국강령 발표(건국강령: 민주사회주의 지향) * 삼균주의: 인균, 족균, 국균 인균- 정치, 경제 교육 균등(보통선거, 대기업 국유화, 국비의무교육제) 족균- 소수민족독립 국균- 식민정책, 제국주의 부정 41. 12월 일본에 선전포고 1942. 5..

Ⅲ-3. 4)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만주 - 한국독립군(지청천) : 중국 호로군과 연합 1932 쌍성보,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1933 대전자령전투 cf) 윤봉길 의거 → 임정: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한인 특별반 책임자 필요 → 지청천 임정에 합류 - 조선혁명군(양세봉) : 1932 영릉가, 1933 흥경성 양세봉- 일본이 매수한 마적 두목의 함정→ 살해 이후 역량 약화 - 1931 조선 농민- 춘황투쟁(소작권 인하, 생존권, 자치권 요구) 이를 계기로 공산주의자들 항일유격대 결성 → 중공 예하의 동북항일혁명군에 소속 →1936 '동북항일연군'으로 변경 조선인 간부 1936. 6 재만 한일조국광복회 조직: 국내와 연결망, 함경도 일대까지 조직 확대 1937 보천보 전투(김일성), 1939 무산진..

Ⅲ-3. 3)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 서간도 서로군정서군 : 신흥무관학교 출신 대한독립단: 박장호, 조맹선/ 의병장 중심 광복군 총영: 1920. 6/ 임정 직속 광복군 사령부 해체되고 만들어진 것 북간도 북로군정서군: 길림성 왕청현/ 대종교 세력/ 김좌진 총사령관 국민회군: 안무 대한독립군: 홍범도 봉오동 전투 1920. 6. 6 홍범도 대한독립군 국내 진입작전 :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 주둔, 일본군 기습 → 일제 토벌대 조직, 화룡현 봉오동에 파견 → 홍범도 대한독립군, 안무 국민회군, 최진동 군무도독부 봉오동에 주둔 → 매복작전통해 전과 올림 안산, 고려령 두, 봉오동 전투 간도 참변 1920. 10월부터 3개월 간 독립군 근거지 소탕 명분 간도 주거 동포 학살 (10-11월 3469..

Ⅲ-3. 2)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의 활동 의열단 1919. 11 김원봉, 윤세주 등 만주 길림성에서 비밀조직 의열단 결성 - 주요 활동: 일제 요인 사살, 식민지배 기구 파괴 활동 등, 민중들의 폭력 투쟁 유도 - 박재혁/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등 1922 신채호의 방문: 의열단 투쟁 이념, 방향 체계화 의뢰 신채호 1923: 민중 직접 폭력 혁명 전개, 민중적 조선 건설, 외교론 자치론 준비론 문화운동론 비판 1920년대 후반 단원들 황포 군관학교 입학 1935 조선민족혁명당 결성 한인애국단 1931. 10 김구 한인애국단 결성 1932. 1 이봉창 히로히토 저격 → 이 사건으로 중국: 한국인에게 호의적 태도 신문보도 내용(불행히도 폭파에 그쳤다) → 상하이 사변으로 이어짐 1932. 4. 29. ..

Ⅲ-3. 1) 국내 항일민족운동- 6.10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1920년대 - 민족주의 계열의 분화: 타협적 민족주의자(개량주의자): 이광수, 최린, 최남선, 김성수 등/ 일본과 타협하여 독립이룩할 살력 쟁취 자치권 얻기위한 운동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사회주의자와 연대 - 사회주의의 등장: 레닌의 식민지 지원 약속 등 → 사회주의 수용 민족의 독립 추구 + 불평등한 사회로부터 해방(지주, 소작민 갈등/ 자본자, 노동자 갈등) 민족주의 계열과 주도권 다툼 → 혼란 초래 6. 10만세운동 what 6.10 만세운동 when 1926. 6. 10 why 1926. 4. 26 순종의 죽음 계기 how 사회주의자: 제 2의 3.1운동 계획 → 조선공산당 '6. 10 운동 투쟁 지도 특별 위원회' 조직 →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