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61)
역사로 보는 세상

Ⅱ-5.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3) 근대 교육과 국학연구 - 근대교육 1883 원산학사 덕원부 상인, 유지들에 의해 설립 전통교육을 기반으로 서양 문물 배우고자 설립 갑오개혁 대 원산소학교됨 1883 동문학 통역관 양성소 1886 육영공원 양반자제들 뽑아 근대 학문 교육 양반 고관 자제만 입학시킨 결과 소기의 목적 달성하기 어려웠음 1894 폐쇄 1894 갑오개혁 근대식 교육제도 마련 - 학무아문(교육행정 정문으로 맡는 교육행정기구) 설치 - 군국기무처- 소학교와 사범학교 설립 방침 → 전통교육과 신식교육의 조화 추구 - 교육입국조서: 일본 고문과 박영효 등 친일 관리 주도 → 서구식 실용과 일본식 충효 강조, 전통교육 배제 -소학교,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 등 관립학교 설치 cf) 95. ..

Ⅱ-5. Ⅱ-5.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2) 언론기관의 발달 한성순보 1883 - 열흘에 한번 - 최초의 신문, 순한문, 관보 - 갑신정변으로 폐간 한성주보 1886 - 국한문 혼용 - 최초의 상업 광고 - 1888 박문국 폐지와 함께 폐간 독립신문 1896. 4. 7 - 관민 합작 - 일간지 - 국문 전용/ 띄어쓰기/ 영문판 간행 - 1899 종간 제국신문 1998 - 이종일, 이승만 발간 - 하층민 부녀자 주 독자였음 - 신교육과 실업 발달 강조 황성신문 1998 - 남궁억, 나수연 발간 - 국한문 혼용 - 유림층 지식인 대상 - 주된 논지: 구본신참에 의한 점진적 개혁, 민권신장, 관민단결, 제국주의 비판 등 - 장지연(시일야방성대곡) - 이후 발행정지, 발행정지 이후 항일논조 완화 -..

Ⅱ-5.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1) 근대 문화의 형성: 이 당시 '동도서기'에 입각하여 과학기술 수용 - 의도: 부국강병 실현하고자 함 - 한계: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도구로 이용됨 근대 문화 형성 관련 연표 1883 기기국, 전환국, 박문국 설치 한성순보 간행(갑신정변 이후 폐간) 원산학사, 동문학 1884 농무목축시험장(최경석) 우정국(갑신정변으로 중단) 부산과 나가사키 해저전선 가설 1885 안종수 한성전보총국 직조국, 종목국, 광혜원(최초의 근대식 병원) 인천-서울-의주 전선 설치 1886 농무학당 정병하 한성주보(88년 박문국 폐지와 함께 폐간) 육영공원 1887 전등 최초 점등(경복궁) 전보국, 조지국, 광무국 1894 농상회사 한일잠정합동조관 1895 우정국 부활 교육입국조서 1..

노트 정리 팁) 각 운동별 시기가 중요한 부분에서는 시기를 정리하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889 황해도 방곡령, 함경도 방곡령 1898 황국중앙총상회 : 외국 자본 침탈, 금난전권의 폐지로 인한 시전상인 상권수호운동 1904 농광회사 설립: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 이주 뒷받침을 위해 국토의 1/4에 달하는 황무지 개간 요구 → 우리 손으로 황무지 개간 목적에서 설립 보안회 설립: 황무지 개간 요구 저지 1907 국채보상운동 1. 민족 자본 형성 노력 1) 시전상인- 황국중앙총상회 2) 객주, 관료- 상회사 건립(동업 조합 성격) → 점차 주식회사도 설립 3) 철도 부설 시도- 박기종/대한철도회사, 이용익/서북철도국 4) 조선인관료 중심의 은행 설립- 조선은행,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한일은행 → 대..

Ⅱ-4.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1) 열강의 경제 침탈 열강의 경제 침탈 내용을 아래 사진처럼 연도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열강의 경제 침탈 과정 연표 정리 1876 - 조일통상장정: 무관세, 무항세, 무제한 곡물유출 - 조일수호조약: 거류지 10리 일본 화폐 유통, 조선 내 외교관 여행 자류 → 거류지 무역: - 초기 중계무역 → 1885년 단계 자국산, 외국산 총액 비슷 - 일본상인의 면직물 반입 → 수공업계 타격 - 일본상인의 곡물 유출 → 곡물 인플레이션 유발, 지주제 강화 - 일부 중개상인(여각, 객주, 보부상)은 부 쌓음 1882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청 속국 규정, 내지 무역권, 양화진 개잔, 연안무역권 → 내지무역 →중개상인들 타격 청과 일본 무역 각축 → 청일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4)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1.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what 애국계몽운동 who 개명(開明: 새로운 사상을 가지게 됨)관료층, 지식인층, 자산가층 주도 when 을사조약 전후 why 경쟁위주의 현실 인식 국권 상실의 원인: 대중의 우매함이라 파악 → 대중 계몽을 통한 실력 양성이 국권 회복의 길이라고 봄 how 주로 교육활동, 언론활동, 식산흥업활동 등으로 전개됨 1) 단체 - 보안회(1904-5)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 일본 측 압력으로 해산 - 헌정연구회(1905.5): 정치 의식 고취와 입헌정체 수립 목적 - 대한자강회(1906.4) : 교육 진흥, 산업개발, 월보간행, 강연회 개최 등 국권회복운동 전개(정치운동보다는 문화운동에 치중) 1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