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Ⅲ-3.
2)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의 활동
의열단
Ⅲ-3.
2)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의 활동
의열단
1919. 11 김원봉, 윤세주 등 만주 길림성에서 비밀조직 의열단 결성 - 주요 활동: 일제 요인 사살, 식민지배 기구 파괴 활동 등, 민중들의 폭력 투쟁 유도 - 박재혁/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등 1922 신채호의 방문: 의열단 투쟁 이념, 방향 체계화 의뢰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1923: 민중 직접 폭력 혁명 전개, 민중적 조선 건설, 외교론 자치론 준비론 문화운동론 비판 1920년대 후반 단원들 황포 군관학교 입학 1935 조선민족혁명당 결성 |
한인애국단
1931. 10 김구 한인애국단 결성 1932. 1 이봉창 히로히토 저격 → 이 사건으로 중국: 한국인에게 호의적 태도 신문보도 내용(불행히도 폭파에 그쳤다) → 상하이 사변으로 이어짐 1932. 4. 29. 윤봉길 홍커우공원 일왕 생일, 상하이사변 자축하는 행사에서 도시락폭탄, 물통폭탄 투척 → 일본군 장성, 고관급 살해 1933. 5 김구- 장제스 만나 지원, 무장투쟁 준비 허용 약속 받아냄 : 중국 육군 군관학교 입교 허용, 낙양분교 (지청천, 이범석 등 교관)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근현대사]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6) | 2022.08.27 |
---|---|
[근현대사]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자유시참변, 3부의 성립) (5) | 2022.08.26 |
[근현대사] 1920년대 이후 국내 항일민족운동(6.10 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5) | 2022.08.22 |
[근현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5) | 2022.08.21 |
[근현대사] 3.1운동의 전개(배경, 전개, 의의, 한계) (3)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