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자유시참변, 3부의 성립)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자유시참변, 3부의 성립)

오늘내일모레 2022. 8. 26. 10:43
728x90
728x90

Ⅲ-3. 

3)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 

서간도 서로군정서군 : 신흥무관학교 출신
대한독립단: 박장호, 조맹선/ 의병장 중심
광복군 총영: 1920. 6/ 임정 직속 광복군 사령부 해체되고 만들어진 것
북간도 북로군정서군: 길림성 왕청현/ 대종교 세력/ 김좌진 총사령관
국민회군: 안무
대한독립군: 홍범도 


봉오동 전투


1920. 6. 6
홍범도 대한독립군
국내 진입작전 :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 주둔, 일본군 기습
→ 일제 토벌대 조직, 화룡현 봉오동에 파견

홍범도 대한독립군, 안무 국민회군, 최진동 군무도독부 봉오동에 주둔

→ 매복작전통해 전과 올림
     안산, 고려령 두, 봉오동 전투 


간도 참변

1920. 10월부터 3개월 간
독립군 근거지 소탕 명분
간도 주거 동포 학살
(10-11월 3469명)


청산리 전투

일제: 봉오동 전투 패배
→ 1920. 10월 훈춘사건: 대규모 부대를 중국 영토에 출입시키기위해 중국 마적 매수하여 일본인 습격함
                                        만주 거주 일본인 안전 내세워 파병 

→ 조선 본토 주둔군, 시베리아 파병군, 관동 지방 주둔군 세 방향으로 파병 

북로군정서군(김좌진), 대한독립군(홍범도) :10. 21-26
    청산리 대첩: 백운평전투, 완루구, 어랑촌, 고동하 등 


자유시 참변

독립군 밀산부에 집결: 서일 "대한독립군단" 병력 3500명

→ 1921. 1월-3월 스보보드니(자유시)로 이동 
    왜 자유시였는가: 상대적으로 일본의 영향력 낮음
                               러시아 적군과 백군 내분에서 백군 지원하던 것이 일본 → 소련이 독립군 잘 받아줄 것으로 기대
    궁극적 목적: 독립군- 단일한 조직 아래 대일항전하고자 함
                         적군 도와 일본 물리쳐 자치주 보장받고자 함

→ 레닌 정부와 협정 체결, 본부 이르쿠츠크 이동, 고려 군관학교 개설

→ 자유대대(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대한국민의회 지지, 소수), 이항군(상해파 고려 공산당, 임정 지지, 다수) 사이 
     군대 통수권 두고 갈등
     이르쿠츠크파, 상해파 전면 대결

→ 적군 일본과 마찰 우려 
     소수였던 이르쿠츠크파 도와 상해파 무장해재 강요, 공격
     1921. 6. 27 자유시 참변(흑하 참변)

→ 소련 영내 독립군 만주, 중국 본토 이동


cf) 일본- 소련 캄차카 반도 연안 어업문제 관할 회의 → 어업조약 체결
     일본: 소련 영내 한국인 혁명단체 육성 금지 요구 → 소련 수용 


3부의 성립
: 만주로 들어온 독립운동가들 3부 조직

1923 참의부 - 임시정부 직할, 집안현 일대/ 군사적 성격
1925 정의부- 서로군정서, 통의부 중심, 남만주 길림성, 봉천성/ 자치정부 성격
         신민부- 자유시 참변 이후 되돌아온 독립군 중심

: 어떤 의미에서 주권, 영토, 인민 갖춘 공화주의 자치 정부

→ 통합운동
1927 1차 대표자 회의
: 개인본위조직론 → 전민족 유일당 촉성회 →1928 혁신의회: 한국독립당(1930), 한국독립군
  단체본위 조직론, 단체중심조직론 → 전민족유일당 협의회 → 1929 국민부: 조선혁명당(1929), 조선혁명군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