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오늘내일모레 2022. 8. 27. 10:10
728x90
728x90

 

Ⅲ-3. 

4)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만주 - 한국독립군(지청천)
  : 중국 호로군과 연합
    1932 쌍성보,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1933 대전자령전투
   
    cf) 윤봉길 의거  → 임정: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한인 특별반 책임자 필요 → 지청천 임정에 합류


- 조선혁명군(양세봉)
  : 1932 영릉가, 1933 흥경성
     양세봉- 일본이 매수한 마적 두목의 함정→ 살해 
      이후 역량 약화


- 1931 조선 농민- 춘황투쟁(소작권 인하, 생존권, 자치권 요구)
  이를 계기로 공산주의자들 항일유격대 결성 → 중공 예하의 동북항일혁명군에 소속

  →1936 '동북항일연군'으로 변경
     조선인 간부 1936. 6 재만 한일조국광복회 조직: 국내와 연결망, 함경도 일대까지 조직 확대
     1937 보천보 전투(김일성), 1939 무산진 승   


cf) 조선광복회 10대 강령
- 반일민족통일전선 실현 → 독립적 인민정부 수립
- 중국 영토 내 거주 한인의 진정한 자치 수립
- 군대 조직
- 일본과 친일분자 재산 몰수
- 의무면비교육 실시
- 노동조건 개선, 노동자 보호법 실시 등 
728x90
중국 -1935 조선혁명당
  : 조선의열단, 신한독립당(신익희), 대한독립당(김규식), 조선혁명당(지청천), 한국독립당(조소앙)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은 의견 차이로 떨어져나감)
   관내 통일 정당 되고자 결성
    but 임정고수파(김구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 반대 

  1937 중일전쟁
   → 조선민족전선연맹
  (강령- 민주주의 독립국가 건설,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신앙의 보장, 일본제국주의자 일체 재산몰수)
                         
   → 1938 조선의용대 : 국민당 정부 대일전선에 배치
                                      대적 심리전에서 활약
                                      소강 상대 지속 
                                    → 화북공산당전선 40년 하반기 치열, 1941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잔류 조선의용대원: 한국광복군에 합류


- 화북지역

1941 화북조선청년연합회

1942 화북조선독립동맹 (위원장: 김두봉/ 최창익, 허정숙)
  → 조선의용군: 중국 공산당 팔로군과 항일전(반소탕전43, 호가장전투41)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흡수 
   화북조선혁명 군사학교 
 
   → 합작 시도: 임정과 동일전선 형성 합의, 여운형 등 건국동맹과 연결
       → 일본의 패망 → 실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