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본문
728x90
728x90

Ⅲ-3.
4)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만주 | - 한국독립군(지청천) : 중국 호로군과 연합 1932 쌍성보,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1933 대전자령전투 cf) 윤봉길 의거 → 임정: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한인 특별반 책임자 필요 → 지청천 임정에 합류 - 조선혁명군(양세봉) : 1932 영릉가, 1933 흥경성 양세봉- 일본이 매수한 마적 두목의 함정→ 살해 이후 역량 약화 - 1931 조선 농민- 춘황투쟁(소작권 인하, 생존권, 자치권 요구) 이를 계기로 공산주의자들 항일유격대 결성 → 중공 예하의 동북항일혁명군에 소속 →1936 '동북항일연군'으로 변경 조선인 간부 1936. 6 재만 한일조국광복회 조직: 국내와 연결망, 함경도 일대까지 조직 확대 1937 보천보 전투(김일성), 1939 무산진 승 cf) 조선광복회 10대 강령 - 반일민족통일전선 실현 → 독립적 인민정부 수립 - 중국 영토 내 거주 한인의 진정한 자치 수립 - 군대 조직 - 일본과 친일분자 재산 몰수 - 의무면비교육 실시 - 노동조건 개선, 노동자 보호법 실시 등 |
728x90
중국 | -1935 조선혁명당 : 조선의열단, 신한독립당(신익희), 대한독립당(김규식), 조선혁명당(지청천), 한국독립당(조소앙)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은 의견 차이로 떨어져나감) 관내 통일 정당 되고자 결성 but 임정고수파(김구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 반대 1937 중일전쟁 → 조선민족전선연맹 (강령- 민주주의 독립국가 건설,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신앙의 보장, 일본제국주의자 일체 재산몰수) → 1938 조선의용대 : 국민당 정부 대일전선에 배치 대적 심리전에서 활약 소강 상대 지속 → 화북공산당전선 40년 하반기 치열, 1941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잔류 조선의용대원: 한국광복군에 합류 - 화북지역 1941 화북조선청년연합회 1942 화북조선독립동맹 (위원장: 김두봉/ 최창익, 허정숙) → 조선의용군: 중국 공산당 팔로군과 항일전(반소탕전43, 호가장전투41)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흡수 화북조선혁명 군사학교 → 합작 시도: 임정과 동일전선 형성 합의, 여운형 등 건국동맹과 연결 → 일본의 패망 → 실패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민족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2) | 2022.09.14 |
---|---|
[근현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 (7) | 2022.09.13 |
[근현대사] 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의 활동(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자유시참변, 3부의 성립) (5) | 2022.08.26 |
[근현대사]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의 활동 (3) | 2022.08.25 |
[근현대사] 1920년대 이후 국내 항일민족운동(6.10 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5)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