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1920년대 이후 국내 항일민족운동(6.10 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by 오늘내일모레 2022. 8. 22.
728x90
728x90

Ⅲ-3. 

1) 국내 항일민족운동- 6.10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1920년대 
- 민족주의 계열의 분화: 
   타협적 민족주의자(개량주의자): 이광수, 최린, 최남선, 김성수 등/ 일본과 타협하여 독립이룩할 살력 쟁취
                                                       자치권 얻기위한 운동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사회주의자와 연대

- 사회주의의 등장: 레닌의 식민지 지원 약속 등 → 사회주의 수용 
                               민족의 독립 추구 + 불평등한 사회로부터 해방(지주, 소작민 갈등/ 자본자, 노동자 갈등)
                               민족주의 계열과 주도권 다툼 → 혼란 초래

 

6. 10만세운동

what 6.10 만세운동
when 1926. 6. 10
why 1926. 4. 26 순종의 죽음 계기
how 사회주의자: 제 2의 3.1운동 계획
→ 조선공산당 '6. 10 운동 투쟁 지도 특별 위원회' 조직
→ 발각, 지도부 해체(2차 공산당 해체)

→ 조선 학생과학 연구회 중심 학생단체 -6.10만세운동 담당
" 일본 제국주의 타도" 
" 토지는 농민에게" "8시간 노동제 채택" 격문뿌리며 가두 시위 → 대중 호응
의의 민족해방 의지 뚜렷
사회주의사, 학생, 일부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제휴 
728x90

 

광주학생항일운동

what 광주학생항일운동
when 1929. 11월
why 식민지 교육에 대한 저항(독서회 중심)
: 1920년대 초반 학내 문제 해결, 일본인 교원 배척
  1920년대 후반 식민지 교육 철폐, 조선인 본위 교육

 일본인, 조선인 학생의 다툼
→ 경찰 조사 과정에서 민족 차별
how 1929 10.30
후쿠다 등이 박기옥 희롱 → 사촌동생 박준채 제지 → 조선학생과 일본 학생 간 패싸움
→ 조사과정에서 일본학생 편들며 민족 차별, <광주일보> 불공정한 보도

1929. 11.3 가두시위 전개
격문 "조선인 본위 교육, 식민지 교육 철폐, 교우회 자치권 획득, 교내 경찰 출입 금지" 
→ 외곽으로 확산, 점차 전국 확산

12월 신간회: 광주학생항일운동에 대한 일제 관헌의 조치 규탄하기 위한 민중 대회 개최 준비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