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근대교육과 국학연구 본문
728x90
728x90
Ⅱ-5.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3) 근대 교육과 국학연구
- 근대교육
1883 | 원산학사 | 덕원부 상인, 유지들에 의해 설립 전통교육을 기반으로 서양 문물 배우고자 설립 갑오개혁 대 원산소학교됨 |
1883 | 동문학 | 통역관 양성소 |
1886 | 육영공원 | 양반자제들 뽑아 근대 학문 교육 양반 고관 자제만 입학시킨 결과 소기의 목적 달성하기 어려웠음 1894 폐쇄 |
1894 | 갑오개혁 | 근대식 교육제도 마련 - 학무아문(교육행정 정문으로 맡는 교육행정기구) 설치 - 군국기무처- 소학교와 사범학교 설립 방침 → 전통교육과 신식교육의 조화 추구 - 교육입국조서: 일본 고문과 박영효 등 친일 관리 주도 → 서구식 실용과 일본식 충효 강조, 전통교육 배제 -소학교, 사범학교, 외국어 학교 등 관립학교 설치 cf) 95. 7월 소학교령, 한성사범학교 규칙 +일반인들도 학교 설립에 참여(흥화학교, 휘문의숙, 양정의숙, 보성전문학교, 서전서숙, 대성학교, 오산학교 등) + 기독교계 종교 단체의 학교 설립(약현학교(천주), 배재(아펜젤러), 이화(스크랜턴), 경신(언더우드), 경신여(엘러스), 숭실(베어드)) |
1996 | 아관파천 | 학교설립 전통교육(성균관 개혁) + 서구 과학기술 수용 |
1999 | 대한국국제 이후 유교 국교화, 신학제 추진(소학교 교육 + 중등 실업교육 중심) |
1906 보통학교령: 6년제 → 4년제
1908 사립학교령: 사립학교 인가받도록 함
728x90
- 국학연구 : 민족의식 고양, 제국주의 대항, 민족문화 수호의 수단
역사 | - 민족의식과 애국심 고취, 민족 정체성 확립 -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강감찬전> 등 위인전 → 애국심, 민족의식 고취 <미국독립사>, <월남망국사> → 독립의지 고취 - 신채호: 독사신론 저술 - 국사교과서: 황현 <매천야록>, 정교 <대한계년사>, 현채 <동국사략> <유년필독> (동국사략: 신사체, 편년체, 정치사 중심 서술 탈피/ 식민사관의 영향 잔존(임나일본부설), 삼한정통론 계승) - 최남선, 박은식 '조선 광문회' → 민족고전 정리 역사 연구의 의의: 독립의지 확립에 기여 역사 연구의 한계: 학문적 깊이는 높지 않았음 |
국어 | - 민족과 언어의 상관관계 강조(언문일치 이룩 → 실력양성) - 유길준의 서유견문: 국한문체 보급에 기여 - 1907 국문연구소: <국민연구의정안> 제정(1909) : 국문표기법 대폭정리, 이후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채택, 공표X, 일제에 의해 폐쇄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일제의 식민통치체제(조선총독부, 지방행정조직) (5) | 2022.05.14 |
---|---|
[근현대사]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러일전쟁, 한일신협약, 을사조약, 경술국치) (8) | 2022.05.13 |
[근현대사] 언론기관의 발달(한성순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문, 신문지법) (5) | 2022.05.02 |
[근현대사]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근대 문물 수용 연표) (4) | 2022.05.01 |
[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 연표, 방곡령, 국채보상운동) (9)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