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 연표, 방곡령, 국채보상운동)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근현대사 경제적 구국운동 연표, 방곡령, 국채보상운동)
오늘내일모레 2022. 4. 22. 10:10728x90
728x90
노트 정리 팁) 각 운동별 시기가 중요한 부분에서는 시기를 정리하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889 | 황해도 방곡령, 함경도 방곡령 |
1898 | 황국중앙총상회 : 외국 자본 침탈, 금난전권의 폐지로 인한 시전상인 상권수호운동 |
1904 | 농광회사 설립: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 이주 뒷받침을 위해 국토의 1/4에 달하는 황무지 개간 요구 → 우리 손으로 황무지 개간 목적에서 설립 보안회 설립: 황무지 개간 요구 저지 |
1907 | 국채보상운동 |
1. 민족 자본 형성 노력
1) 시전상인- 황국중앙총상회
2) 객주, 관료- 상회사 건립(동업 조합 성격) → 점차 주식회사도 설립
3) 철도 부설 시도- 박기종/대한철도회사, 이용익/서북철도국
4) 조선인관료 중심의 은행 설립- 조선은행,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한일은행
→ 대한제국 시기 회사 설립, 기업활동 성장
하지만 자금 부족, 운영상 방식 미숙, 일본의 정치적 방해로 더 성장하지 못함
728x90
2. 방곡령
: 식량 공급 문제가 급박해지거나 쌀값 크게 오를 때 그 지방의 산출 양곡을 타지방으로 유출하지 못하게 하는 조시
일본: 근대 산업 발전으로 이촌향도 현상이 나타나 미곡 생산량이 감소함
→ 한국에서의 미곡 수입(1876 조일규칙- 미곡 무역 허용)
→ 문제 방지 위한 조치: 82 조미조약-양곡 수출 일시 중단, 83 조일통상장정- 방곡령 약정 체결
→ 89. 5월 황해도 방곡령, 10월 함경도 방곡령, 90. 3월 황해도 방곡령
→ 하지만 일본 절차상 이유로 방곡령 취소, 손해배상 청구 등
3. 국채보상운동
what | 국채보상운동 |
who | 서상돈, 양기탁, 김광제 등 |
when | 1907. 2월 대구 광문사 → 대동광문사 고치는 특별회에서 서상돈이 제의 |
why | 통감부 설치되면서 화폐 정리, 시설 개설 등 명목으로 일본으로부터 막대한 차관 들여옴 → 국권 침탈, 일본에 예속화 우려 |
how | 국채보상기성회 중심으로 모금운동 - 금연운동, 비녀, 가락지 내놓는 경우 - 일반인들의 호응 많았나 부호의 참여는 적었음 → 일제: 배일운동으로 간주하여 방해, 양기탁 등 구속 |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언론기관의 발달(한성순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문, 신문지법) (5) | 2022.05.02 |
---|---|
[근현대사]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근대 문물 수용 연표) (4) | 2022.05.01 |
[근현대사] 열강의 경제 침탈 조약 연표(근현대사 경제 조약 연표 정리, 화폐정리사업) (8) | 2022.04.18 |
[근현대사] 애국계몽운동의 전개,의의, 한계와 신민회의 활동 (8) | 2022.04.17 |
[근현대사]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의열항일투쟁 (9)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