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민족협동전선(정우회 선언, 신간회) 본문
728x90
728x90
Ⅲ-4.
2) 민족협동전선
사회주의
- 1920년대 유입
1925년 조선공산당 결성 : 조선 노동 총동맹, 조선 농민 총동맹 기반/ 노동운동, 농민운동 전개
:재건과 와해 반복 → 1928년 해체
<국내외 사회주의 운동>
1918 공산당 한인지부(이르쿠츠쿠), 한인사회당(하바로브스크)
1921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상해파 고려공산당 -각각 발전, 1922 모두 해체
1923 국내- 국외 두 파 형식적으로 통합
고려국(코르부료) 성립
1925 조선공산당(극동총국 고려국 공작원+화요파, 북풍파) 고려 공산청년회(박헌영) 수립
1차 김재봉
2차 강달영 -6.10만세운동 추진
3차 김철수 등 - 정우회 선언 주도
4차 차금봉
→ 12월 테제(1928), 9월 테제(1930)
cf) 12월 테제:
한인사회주의 혁명 성격, 토지혁명에 기초한 부르주아 민족혁명 → 조선공산당 해체, 신간회 해소투쟁
cf) 9월 테제:
노동조합 지도부 개량주의적, 노동운동 내부 혁명적 좌익 결성
→ 30년대 적색농민운동, 적색 노동운동
→ 1935년 코민테른 제 7차 대회: 광범한 통일전선 결성
→ 반일민족통일전선 결성
경성콤그룹, 스탈린단, 건국동맹 등
1920년대 민족주의자 :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타협적 민족주의자→ 자치운동으로 나아감(이광수, 민족적 경륜)
→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 사회주의자
: 단일한 민족운동 전개
당시 코민테른: 모든 계급 연합하여 조선민족해방운동할 것
중국: 안창호 단결 호소- 한국독립유일당 북경촉성회(1926)
만주: 3부 통합운동(1928년 무렵)
1926. 7 조선민흥회
: 조선물산장려회 + 고려 공산동맹의 전진회
한정된 규모의 민족협동전선
1926. 4 정우회 결성: 합법 사회주의 단체
11. 15 정우회 선언 발표. 스스로 해산
정우회 선언 1. 분파 투쟁 청산, 사상단체 통일 2. 교육 통한 대중 조직화 3. 경제투쟁에서 정치투쟁으로 전환 4.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적극적 제휴 |
728x90
신간회의 결성
what | 신간회 |
who | 사회주의자 +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회장 이상재, 부회장 홍명희 |
when | 1927. 1. 19 창립 발기 2. 15 창립대회, 강령채택 5월 근우회 발족 |
why | 단일화된 민족운동 요구 |
how | - 민중 계몽 운동 - 노동 파업, 소작쟁의, 동맹휴학 지도 - 광주학생항일운동에 관여 → 조사단 파견, 진상 보고위한 민중대회 열고자(하지만 발각됨, 홍명희, 조병옥, 허헌 등 체포) - 조직: 중앙조직:비타협적 민족주의 우세 지방조직: 사회주의 세력 우세 → 조직 형태가 중앙집권적이며 노동자, 농민이 조직의 주체가 되지 못하며 강령에 따른 구체적 활동 할 수 없다는 지적 → 회장제 - 집행위원장제로 바꿀 것 지회 연합기관 조직, 구체적 행동강령 제정 요구 조선총독부의 탄압 → 정기대회 열 수 없었음, 복대표대회 개최(몇개 지방 지회끼리 대표모아 회의) → 1929. 6 신간회 강령, 규약 제정 : 간사제 → 중앙집권위원제, 지회 권한 확장, 지회 조직 세분화위해 지역별, 직업별 조직 구축 하지만 개인분위→ 단체 분위 개편 X, 강령자제 개정X |
result | 민중대회 사건 → 간부 구속, 타격 내부에서 합법운동 강조하는 인물 등장(최린 일파 -자치론자와 제휴 주장) 1928 12월테제 → 사회주의자들의 해소 투쟁 본격화(해소: 다른운동으로 전환하는 변증법적 자가발전 의미) cf) 12월테제: 장제스 쿠데타, 세계공황 → 농민 노동자 쟁의 격렬해짐 → 우리나라 내 부르주아 민족주의 비판 →적색노조운동할 것! 1930 부산지회 해소결의 시작 1931. 5. 16 전체 대회 해소안 가결 신간회 결성의 의의: 최초의 민족협동 단체 (→이후 1944 조선건국동맹) 좌우익이 함께 일제에 대항 |
*신간회 3대 강령
-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진
-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함
-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1920-30년대 농민운동(암태도 소작쟁의, 농촌진흥운동) (2) | 2022.09.26 |
---|---|
[근현대사] 1920-30년대 노동운동(원산총파업) (4) | 2022.09.25 |
[근현대사] 민족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2) | 2022.09.14 |
[근현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 (7) | 2022.09.13 |
[근현대사] 1930년대 무장독립전쟁 (6)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