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1920-30년대 노동운동(원산총파업) 본문
728x90
728x90
Ⅲ-4.
3)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노동운동
1920년대 식민지 공업화 정책(열악한 노동조건, 저임금),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
→ 노동단체 등장
초기: 여러 직종 망라하는 합동 노동 조합 형태→ 점차 직업별, 산업별로 전환
1920년대 | 노동단체 1920 조선노동공제회: 전국 범위의 최초 노동자 단체, 노동자와 자본가의 협조에 의한 사회 개량 지향 1922 조선노동연맹회: 직업별 지역별 노동조합 연합체, 노동공제회보다 계급적 목표 뚜렷 1924 조선노농총동맹: 노동 공제회, 노동연맹회보다 계급적 성격 강화 전국의 노동자, 농민단체 거의 망라하여 결성 - 강령: 노농계급 해방, 자본가 계급과의 철저한 투쟁, 노농복리 증진 - 당면과제: 각지의 노동자 단체 조직, 노동자 계급 의식 고양, 8시간 노동제, 1일 1원의 최하임금제 실시 1927 조선노동총동맹, 조선농민총동맹 |
노동운동 1926 목포 제유공장 노동자 1927 영흥 흑연 광산 노동자 장기 파업 1929 원산노동자 총파업 → 최저임금제 확립, 8시간 노동제 실시, 감독 파견, 대우 개선, 단체 계약권 확립 파업 중 외국 노동단체와 연대 : 1920년대 합법적 경제 투쟁에 치중 |
728x90
1930년대 | 조선공업화 정책: 풍부한 노동력, 일본 과잉 자본과 결합 → 군수기지화되면서 근무조건 더욱 열악 1928 12월테제(요약: 적색 노조운동할 것) 1930 9월테제 (요약: 노동운동 내부 혁명적 좌익 결성) 1931 10월 서신 → 민중운동과 결별 시도 → 노동운동 고조 적색노동조합의 출현 혁명적 노동운동 적색노동조합: 대규모 공장있던 도시에 주로 조직됨 8시간 노동제 확보, 노동조건 개선 등 요구 → 30년대 정치투쟁 전개, 합법적 활동- 비합법적 활동 긴밀히 연결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식민사관(정체성론, 타율성론, 당파성론)과 식민사관의 극복노력(민족주의, 사회경제사학, 실증사학) (8) | 2022.09.27 |
---|---|
[근현대사] 1920-30년대 농민운동(암태도 소작쟁의, 농촌진흥운동) (2) | 2022.09.26 |
[근현대사] 민족협동전선(정우회 선언, 신간회) (3) | 2022.09.24 |
[근현대사] 민족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2) | 2022.09.14 |
[근현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 (7)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