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식민사관(정체성론, 타율성론, 당파성론)과 식민사관의 극복노력(민족주의, 사회경제사학, 실증사학)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식민사관(정체성론, 타율성론, 당파성론)과 식민사관의 극복노력(민족주의, 사회경제사학, 실증사학)
오늘내일모레 2022. 9. 27. 10:06728x90
728x90
식민사관
목적: 민족자긍심을 붕괴시키고 식민지배의 당위성 이끌어내고자 함
시행:
1916 조선반도사 편찬 위원회/ 중추원 산하
1922 조선사편찬 위원회/ 조선총독부 산하
1925 조선사 편수회/ 독립관청/ 정무총감 - 회장, 이완용 등 고문
내용
정체성론 | 사회경제 발달 단계 진전X 조선후기는 일본 고대 말기, 봉건사회의 부재 주장 → 일본의 조선 지배는 조선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대적인 것에서 근대적인 것으로 도약시켰다고 주장하는데 목적이 있음 |
타율성론 | 독자적 발전없이 중국, 몽골, 만주, 일본 등 주변 외세의 간섭과 힘에 역사 좌우됨 :고대- 일본 지배, 중세- 중국 여러나라 지배 청말 이후- 다시 일본의 지배 → 고대 한일관계로 돌아감 - 임나일본부설: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 남부 진출 신라와 백제의 조공을 받았으며 가야에 일본부라는 기관 두어 6세기까지 직접 지배 - 만선사관: 만주지역의 역사변화에 따라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 한반도 지역 독자적인 정치체제 갖지 못하고 대륙에서 실패한 세력이 자리잡은 것 만주지방을 한반도와 덩어리로 묶어서 파악 → 만주 침략 이론적으로 뒷받침 |
당파성론 | 민족멸망의 이유- 민족의 파쟁의식, 분열주의 |
일선동조론 | 일본 민족과 한국(조선) 민족은 하나의 조상을 가졌다는 주장을 전개하여 한국 민족 흡수하고자 함 |
청구학회:
조선사편수회 + 경성제대 교수
<청구학총> 간행 →식민사학 이론 확립과 보급
728x90
이에 대항한 국사연구
민족주의 사학 | 식민사관에 반발 - 박은식: <<한국통사>>: 민족정신 '혼' 파악 <<한국독립운동 지혈사>>: 독립투쟁과정 -신채호: 낭가사상 <<조선상고사>>: 단군- 백제 멸망까지 서술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주목: 조선역사상 일천년 내 제일사건 <<독사신론>> 1923 조선혁명선언 정인보(얼), 안재홍, 문일평(심) - 조선학운동(1934년 기점): 민족독립의 정신적 기반 확보, 일제에 대해 소극적, 타협적 자세 |
사회경제 사학 | 백남운 등 사적 유물론에 입각 → 세계사적, 보편적 역사 발전에 따라 한국사 역시 발전한 것을 입증하고자 함 정체성론 반박, 민족주의자의 정신사관 비판, 역사발전의 원동력- 민중으로 봄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1933, <<조선봉건사회경제사>> 1937 |
실증사학 | 랑케 사학의 영향 개별사실 밝히고자 하는 순수학술운동 한국사 실증적으로 연구 이병도, 손병희 - 1934 진단학회 창립, 진단학보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8.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 2(미군정 소련정, 전후 국내 정당 수립) (4) | 2022.10.11 |
---|---|
[근현대사] 8.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 1(전후처리 회담) (1) | 2022.10.07 |
[근현대사] 1920-30년대 농민운동(암태도 소작쟁의, 농촌진흥운동) (2) | 2022.09.26 |
[근현대사] 1920-30년대 노동운동(원산총파업) (4) | 2022.09.25 |
[근현대사] 민족협동전선(정우회 선언, 신간회) (3)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