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상업

by 오늘내일모레 2022. 12. 16.
728x90
728x90

조선 전기의 상업: 억상정책

중앙 시전
- 종로
육의전(명주, 종이, 어물, 모시, 삼베, 무명) 대표
국가에 필요한 물품 납부
독점판매권 보장


+경시서: 불법적 상행위 규제(고려 문종 설치, 조선 태조 계승, 세조 평시서 개칭)
지방 15세기 후반 농업생산력 발달
→ 서울 근교, 지방: '장시' 등장, 16C 전국으로 확산
대외 명- 공무역, 사무역
여진- 무역소 통해 교역
왜- 동래 왜관 통해 교역

 

cf) 화폐유통: 저화(태종) → 조선통보(세종) → 팔방통보(세조)

 

 

조선 후기의 상업

: 농업 생산력의 증대, 수공업의 발달, 부세의 금납화, 인구 증가 →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 

공인: 대동법 실시 → 장시 중심으로 활동
         특정 물품 대량 취급 →  도고로 성장

사상: 18세기 이후 상업활동 주도
          칠패, 아현 이외의 지방에도 활동
          대표적: 개성 송상, 의주 만상, 평양 유상,
                       한양 경강상인, 동래 내상
           관권, 양반과 결탁 → 도고로 활동
시전상인: 사상 등장 → 사상, 다른 시전, 수공업자와 경쟁
→ 금난전권 지급: 
     난전 방지, 시전 보호 목적
      - 착납권: 난전인 체포
      - 속공권: 난전 물건 관에 압수

→ 시전상인 '도중'이라는 조합 결성
    금난전권 이용해 비시전상인 탄압

but 시전상인, 사상도고의 독점 → 물가상승, 영세상인 저항

신해통공(1791): 체제공의 건의
     육의전제외 금난전권 폐지
     20-30년 미만 시전 폐지

→ 시전상인으로부터 중소상인 보호
    소상인, 생산자 상품매매 자유로워짐
    물가 앙등, 조선 후기 상품화계경제 발달
but 사상도고 더 성장(자본력으로 시장 장악)
장시
: 16세기 전국적 발달
 5일장 형태, 일부 상설시장 마련
 인근 시장과 연계 →하나의 시장권 마련
 보부상-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키는데 기여 


포구
 - 선상: 타지에서 물품 구매, 포구에서 처리
 - 여각, 객주: 중계인 역할/ 운송, 보관, 금융, 숙박 등 
 

대외무역
: 청 - 개시, 후시 통해 활발한 교역
  일본- 동래왜관 →무역


 중강개시: 선조/ 마필, 군량 조달 위해 유성룡 건의
 북관개시(경원, 회령): 인조/ 병자호란 이후 만주에 필요 물자 공급 위한 것

 중강후시: 송상, 만상에 의해 50년 존속
 책문후시: 사신 오갈 때 밀무역(초기 규제, 이를 규제하기 위한 단련사까지 결탁→ 단련사 후시)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