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조선 전기의 상업: 억상정책
중앙 | 시전 - 종로 육의전(명주, 종이, 어물, 모시, 삼베, 무명) 대표 국가에 필요한 물품 납부 독점판매권 보장 +경시서: 불법적 상행위 규제(고려 문종 설치, 조선 태조 계승, 세조 평시서 개칭) |
지방 | 15세기 후반 농업생산력 발달 → 서울 근교, 지방: '장시' 등장, 16C 전국으로 확산 |
대외 | 명- 공무역, 사무역 여진- 무역소 통해 교역 왜- 동래 왜관 통해 교역 |
cf) 화폐유통: 저화(태종) → 조선통보(세종) → 팔방통보(세조)
조선 후기의 상업
: 농업 생산력의 증대, 수공업의 발달, 부세의 금납화, 인구 증가 →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
공인: 대동법 실시 → 장시 중심으로 활동 특정 물품 대량 취급 → 도고로 성장 사상: 18세기 이후 상업활동 주도 칠패, 아현 이외의 지방에도 활동 대표적: 개성 송상, 의주 만상, 평양 유상, 한양 경강상인, 동래 내상 관권, 양반과 결탁 → 도고로 활동 |
시전상인: 사상 등장 → 사상, 다른 시전, 수공업자와 경쟁 → 금난전권 지급: 난전 방지, 시전 보호 목적 - 착납권: 난전인 체포 - 속공권: 난전 물건 관에 압수 → 시전상인 '도중'이라는 조합 결성 금난전권 이용해 비시전상인 탄압 but 시전상인, 사상도고의 독점 → 물가상승, 영세상인 저항 → 신해통공(1791): 체제공의 건의 육의전제외 금난전권 폐지 20-30년 미만 시전 폐지 → 시전상인으로부터 중소상인 보호 소상인, 생산자 상품매매 자유로워짐 물가 앙등, 조선 후기 상품화계경제 발달 but 사상도고 더 성장(자본력으로 시장 장악) |
장시 : 16세기 전국적 발달 5일장 형태, 일부 상설시장 마련 인근 시장과 연계 →하나의 시장권 마련 보부상-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키는데 기여 포구 - 선상: 타지에서 물품 구매, 포구에서 처리 - 여각, 객주: 중계인 역할/ 운송, 보관, 금융, 숙박 등 |
|
대외무역 : 청 - 개시, 후시 통해 활발한 교역 일본- 동래왜관 →무역 중강개시: 선조/ 마필, 군량 조달 위해 유성룡 건의 북관개시(경원, 회령): 인조/ 병자호란 이후 만주에 필요 물자 공급 위한 것 중강후시: 송상, 만상에 의해 50년 존속 책문후시: 사신 오갈 때 밀무역(초기 규제, 이를 규제하기 위한 단련사까지 결탁→ 단련사 후시) ![]() |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신분질서(양반, 중인, 상민, 천민/ 양천제, 반상제) (7) | 2022.12.18 |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사회(성리학적 질서, 가족제도) (3) | 2022.12.17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 (3) | 2022.12.15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농업 (1) | 2022.12.14 |
[조선시대사] 임진왜란 이후 경제상황의 변동(영정법, 균역법, 대동법) (2)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