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

오늘내일모레 2022. 12. 15. 16:32
728x90
728x90

조선 전기 수공업

 

- 관영수공업: '공장안'에 등록된 장인이 부역 형식으로 국가 필요 물품 납부

(할당량 이외: 자기가 팔아서 이익 챙김)

경공장: 중앙 공조, 기타 관아에 소속
외공장: 지방의 각 도, 군현의 관아에 소속

급보제(장인에게 보인 붙여줌), 복호제(잡다한 국역 면제)

 

- 민간수공업: 주로 농민 대상(농기구), 귀족 사치품

 

- 가내수공업: 자급자족 목적, 목화재배로 무명 혹은 명주, 모시 삼베 등 생산 (면직 주류)

 

728x90

 

 조선 후기 수공업

 

- 상품화폐 경제 진전, 대동법 실시, 부역제 해이(급보제, 복호제 유명무실/ 급료 지급 중단/ 정조 대 공장안 폐지하고 고용제 시행- 장인세 납부하고 사영 수공업자 되어 제품 생산)

  → 수공업 제품 생산 활발

 

- 민간수공업자- 상업 자본의 지배, 선대제 수공업 성행(미리 자금, 원료 받아 제품 생산), 시전 상인과 경쟁

→ 18세기 후반 독립 자영수공업자 등장(철기, 유기 등)

 

- 농촌 수공업- 부업 수준, 자급자족 수준 수공업→ 전문적으로 하는 농가 생겨남(상품 생산 단계 전업화) → 정촌 이룸 

 

 

조선 후기 광업

- 조선 초 수령 관할 농민 부역 → 광산 개발

  연산군 대 은 분리하는 방법(연은분리법) 개발

 

→ 조선 후기 잠채 보편화/ 은광 개발 → 농민들의 피역 저항

→ 효종: 설점수세제 시행: 국가 비용으로 광산에 점 설치, 경영은 민가에 맡기는 형태

     + 별장제: 민간 광산 개발 통제, 감독

      → 별장제 폐지 이유:

       지방 토호, 대상들의 잠채 지속, 수령과 결탁하여 별장제 폐지 종용,

       호조 수입 독점하여 수입 읺은 감영, 군영이 광산에 각종 잡세 부과

        → 1775년 별장제 폐지(설점수제- 수령관할 → 덕대 등장)

 광산 경영- '덕대' 전문 경영인
: 상인물주의 자본금 받아 채굴업자, 채굴노동자, 제련 노동자 등 고용 
→ 자본주의적 성격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