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의열항일투쟁

by 오늘내일모레 2022. 4. 16.
728x90
728x90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3) 항일의병 전쟁의 전개- 을미, 을사, 정미, 호남, 의열항일투쟁

 

 

1. 을미의병

what 을미의병
who
유생 + 농민, 동학 잔여 세력 가담 

대표적: 유인석, 이소응, 허위

when 1895
why
명성왕후 시해(을미사변)로 분노
을미개혁- 단발령에 반발

how
초기 유생이 주도 : 이들 조선 지배체제 유지, 봉건적, 위정척사 사상
이후 농민과 동학 잔여 세력 가담: 반외세 반봉건 지향

→ 갈등 
→ 해산 
1) 아관파천 이후 친일정권 무너지고 단발령이 철회됨
2) 고종이 해산 명령하자 스스로 해산

→ 이후 농민 유민- 활빈당 조직, 영학당, 남학당(방성칠의 난 1898)
  활빈당: 1900년 활동, 대한사민논설 13조목(제국주의 열강 경제 침탈 방지, 토지 균등 분배, 구민법 시행)

728x90

 

2. 을사의병

what 을사의병
who
유생(의식변화) + 교외군인, 농민
대표적: 민종식, 정용기, 최익현, 신돌석

"평민의병장의 등장" : 신돌석(태백산 호랑이)- 경상 강원 일대 활약 

when
을사조약 전후(1904. 7 교외 군인들이 반일 의병 활동 시작한 때부터- 1905.06)

why
을사조약 체결 을사조약 폐기, 을사오적 처단 

*을사오적: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how
참여계층의 확대- 평민의병장의 등장
전술의 변화- 수성전 산악지대를 근거지로 둔 게릴라 형태(유격전법)

 

 

3. 정미의병

what 정미의병
who 해산 군인 + 유생 + 농민
when
1907. 7월 고종 강제퇴위, 8월 1일 한일신협약   군대해산

why
-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 강화함
  고종 헤이그 밀사 파견(이준, 이위용, 이상설)
  일본: 고종 퇴위, 군대 해산 

- 군대 해산 → 시위대 1연대 1대 대장 박승환 자결 → 시위대 시가전, 지방 진위대 봉기 

how
- 군인들의 참여   의병의 전술, 화력 ↑: 의병 전쟁 양상
- 범위 확대 → 민중적 성격 강해짐,
  평민의병장 다수(황해 경기 김수민, 함경 홍범도/ 잔반 전해산, 심수택)
- 공격 대상: 친일 인사나 진위대 아닌 일본군 5.

- 1907. 12월 13도 창의군 결성- 이인영 총대장, 허위 군사장
  서울 각국 영사관에 통문(국제공법상 전쟁 단체로 인정해줄 것, 여러 나라가 후원해줄 것 호소)
  서울 근교 양주로 집결 → 서울로 진격 
  → 일본의 반격으로 실패/ 이인영의 부친상으로 허위의 통솔로 진격 

 

※ 의병활동의 의의와 한계: 

- 의의:

1) 갑오 농민전쟁 → 의병전쟁 →식민지 초 만주지방 무장투쟁(홍범도, 이동휘, 이범윤 등)으로 이어짐

2)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타격 가함

 

- 한계: 

의병 전쟁 - 마지막 단계까지 양반 유생층의 지도노선 청산하지 못하고 농민적, 대중적 기반 위에서 새로운 지도 노선을 확립하지 못함.         

 

 

4. 호남의병전쟁

what 호남의병전쟁
who 호남지역의병
when 1908-09
how
서울진공작전 실패
→ 호남지역 의병 활약: 일본군의 주력을 호남에 묶어둠으로써 다른 지역 의병을 간접 지원하는 역할
→ 일본: 1909.9월 "남한 대토벌 작전"
    2개월동안 호남, 해안 육지 봉쇄한 후 초토화
    공포 분위기 몰아 식민지 지배의 기초 마련 
 

 

 

5. 의열항일투쟁

what 의열항일투쟁
how
- 장인환, 전명운: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외교고문/일본의 한국 통치 찬양, 미화) 살해

- 안중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 처단(1909)

- 안명근: 안중근의 사촌동생, 데라우치 저격 투쟁

- 이재명: 이완용 저격 /실패

- 나철, 오기호 등: 을사오적 처형 → 오적 암살단 조직

의의 - 개인에 의해 산발적으로 일어나 조직적 항일 투쟁으로 이어지지 못함
한계 - 일제 침략을 국내외에 알리고 애국심 고양하는 계기가 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오늘은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호남의병전쟁, 의열항일투쟁의 원인,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의병활동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