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전개과정, 의의, 한계) + 노트 정리 방법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전개과정, 의의, 한계) + 노트 정리 방법

오늘내일모레 2022. 3. 26. 10:35
728x90
728x90

노트 정리 팁) 중단원 하나를 들어갈 때, 소단원 내용을 적어놓으면 앞으로 공부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어 좋습니다

오늘Ⅱ-3 단원을 들어가므로 이렇게 상단에 정리해보았습니다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2)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활동

3) 항일의병 전쟁의 전개

4)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what 동학농민운동
who 동학교도+농민
why
1) 농민- 개항 이후 일본 상인들이 곡물 사들여 폭리 취함 → 곡물 유출, 인플레이션, 식량부족현상

2) 동학교도-1864 최제우 처형(혹세무민 명목)
→ 교조 신원운동:
1892. 7. 공주 - 조병식(충청 감사) 동학금지 과정에서의 폐단 금지 
1892. 11. 삼례
1893. 2. 서울 복합상소 
공주, 삼례, 서울 복합상소- 교조신원, 동학교도에 대한 탄압 금지 요구

1893. 3 보은 - 척왜양창의(일본과 서양세력 배척하여 의병 일으킨다), 보국안민 
1893.    금구-  보은 집회 정치적 성격의 집회로 유도하고자/ 전봉준, 황하일- 남접(정치투쟁, 반봉건,반외세) 서울로 진공하고자 → 북접(최시형, 손병희 등/ 동학 합법화하여 처지 개선)의 제지 


cf) 동학- 1대 최제우, 2대 최시형(용담유사(무식층), 동경대전(식자층)/
포접제 교단 조직/각지에 도소, 그밑에 포, 접(접주)을 둠  

cf) 교조 신원운동에 대해 정부는 어윤중 양호선무사로 파견, 관군 출동하여 진압 

where 전라도- 곡창지대 → 수탈 많았음(전운사, 균전사)/ 왕실 소유의 궁방전 밀집 
how
고부:
고부 군수 조병갑- 만석보 쌓게 하여 수세 징수 등 부정 저지름
→ 농민들 폐정 시정 요구 →받아들여지지 않음 →봉기

1894. 1 고부 봉기 - 관아 습격, 13개 요구사항(탐학 시정, 외국 상인 침투 금지 등)
→ 정부: 조병갑에게 책임 추궁, 신안군수 박원명 무마책 → 스스로 해산

1894. 3 1차 농민봉기 - 안핵사 이용태의 강압책 → 봉기 
- 호남 창의소 조직/ 전봉준 창의대장, 손화중, 김개남- 총관령/ 농민군 4대 행동강령 선포/
  농민군 지휘부 '제중의소'

1894. 4 황토현 전투 → 남쪽으로 (정읍, 흥덕, 고창, 무장, 영광, 함평)
        4. 23 황룡촌 전투
        4. 27 전주 입성/ 5.5 청군 상륙(아산만),  5.6 일본군 상륙(인천)
       
        5. 8 전주화약  : 농민군 신변 보장, 폐정개혁 12개조 일부 수용 


※ 폐정개혁 12개조: 탐관오리 명징, 노비문서 폐기, 과부 재가 허용, 무명 잡세 폐지, 공사채무효로 할 것, 토지 평균 분작(소유권 균분 요구→경작권 균분으로 수정) 

 

94.6 집강소 설치: 전라 53군/ 전주 대도소 설치
- 1인의 집강, 서기, 성찰, 동몽 등 임원 / 민정 처결, 치안담당 및 농민의사 집행 
- 민정 자치 기구 

94. 6. 21 일본 경복궁 점령
     6. 23 아산해전: 일본의 선제 공격 → 청일전쟁(94.6-95.4) 발발
→ 일본의 평양전투와 황해도 해전 승리/ 일본의 랴오둥 반도 공격 → 일본 승리

cf) 94. 7-12월 1차 갑오개혁

94. 9 2차 농민봉기(동학농민군 vs 일본군, 관군, 양반유생 조직한 민보군)
- 남북접 집결 (삼례(남접)과 옥천, 청산(북접) → 논산으로)
- 11. 8 공주 총 공격 우금치전투 → 패전 → 논산으로 후퇴
   논산 황화대, 금구 태인전투에서 항전 → 패 

의의
- 반봉건적, 반침략적 민족운동
- 아래로부터의 개혁
- 갑오개혁 단행하지 않을 수 없게함(노비 제도 폐지, 무명 잡세 정리)

한계
-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하지 못함
- 농민층 이외의 넓은 지지층 마련하지 못함(지주층, 양반층, 부호 등 민보단 조직)
- 개혁 대상이 중앙의 권귀權貴 - 조선 왕조 자체나 왕권을 타도 대상으로 삼지 못함

728x90

정리 팁) 동학농민봉기 마지막에 사건 순서를 연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은 동학농민운동의 원인, 전개과정, 의의, 한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전개과정이 길기 때문에 시간 순으로 정리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