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3월 23일의 역사: 장인환과 전명운이 대한제국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저격하다. 본문
1908년 3월 23일 장인환과 전명운이 대한제국 외교고문이었던 스티븐스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저격하다.
1905년 을사조약은 조선의 모든 것을 뒤바꾸어 놓았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사람들은 분개했다. 어떤 이들은 의병의 형태로, 어떤 이들은 자결의 형태로, 또 누군가는 암살 등의 방법으로 제각기 저항한다.
당시 대한제국의 외교고문이었던 스티븐스는 친일파 미국인으로 을사조약을 찬양했다. 1908년 3월 스티븐스는 미국으로 가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한다'는 발언을 한다. 이에 장인환 의사와 전명운의사는 외교 고문 활동을 마치고 잠시 귀국한 스티븐스를 암살하기 위해 각각 권총과 쇠몽둥이를 준비했다. 당시 장인환은 철도와 어부 일을 하던 노동자였으며 전명운은 철도 관련일을 하던 노동자였다. 이 둘은 서로 전혀 모르는 사이였다. 암살 당일 샌프란시스코 기차역 광장에서 전명운이 먼저 스티븐스를 가격했고 같은 목적으로 대기하던 장인환이 권총으로 처단한다.
전명운은 장인환의 총격으로 총상을 입고 장인환과 함께 구속되었으나 공범관계가 아님이 드러나 무죄 선고를 받고 풀려났다. 당시 교민들은 장인환을 변호하고자 성금을 모아 네이플 코플란을 변호사로 선임한다. 이 때 통역을 이승만에게 부탁하였으나 이승만은 자신이 기독교인이라 살인범의 변호를 통역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거절한다. 장인환은 2급 살인죄를 선고받았다.
출처
<<단박에 한국사>> 근대편 심용환
위키백과 장인환, 전명운 편
아시안 타임즈 기사 <장인환∙전명운 의사, '을사조약 찬양' 스티븐스 저격>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6일의 역사: 안중근의 사형이 집행되다 (15) | 2022.03.26 |
---|---|
3월 24일의 역사: 도쿠가와 이야에스가 에도막부를 수립하다. (12) | 2022.03.24 |
3월 21일의 역사: 나치 독일 다하우에 강제 수용소를 건설하다 (15) | 2022.03.21 |
3월 20일의 역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만들어지다 (16) | 2022.03.20 |
3월 18일의 역사: 독일 빌헬름 2세 비스마르크를 수상직에서 해임하다 (31)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