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중세사] 서임권투쟁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서양사 임용고시 노트

[중세사] 서임권투쟁

오늘내일모레 2024. 5. 13. 19:03
728x90
728x90

*서임권 투쟁

- 그레고리우스 7세:
성직자 결혼 엄금
세속 군주에 의한 성직자 임명 금지
성직 매매 금지
교황은 황제를 폐위시킬 권한 있다고 선포
1075 주교 대의원 회의: 세속군주로부터 성직에 서임된 모든 공직자 해임

→하인리히 4세: 강경하게 대응 → 교황: 황제 파문, 폐위 → 제후들 반황제 움직임 → 1077 카노사의 굴욕 
→1080 하인리히 로마로 진격 

 

728x90

*서임권 문제의 해결

영국 성 안셀모와 헨리1세의 타협안 → 교황 파스칼의 승인

내용:
주교 교회 내에서 선출
주교로 취임하기 전 국왕에게 봉신으로 신서
국왕으로부터 봉토 관할권 수여
국왕- 신서 거부 가능, 주교 선출에 강한 발언권 
독일 하인리히 5세- 파스칼 2세 

파스칼2세: 주교들의 봉토 포기 제안 → 교회 내에서도 반발 

1122 보름스 협약:
성직자 서임권은 교황이 가짐
황제, 제후는 성직자들에게 봉토와 향응 베풀 수 있음
국왕이 주교 선출에 직접 참여할 권리 보유 첨가됨- 영국, 프랑스 타협과 다른 점 

 

728x90

* 서임권 투쟁 결과

1. 교황권의 강화- 그리스도교 세계의 최고 권력자 인정

2. 교황의 중앙집권적 지배 강화 → 기구와 법 마련

3. 교회와 국가 내에서 지배자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 강화

   독일 제후들의 저항- 지방 할거주의 강화

   지방 제후들도 주백의 권한과 재판권 장악, 소영주들 봉신으로 만들어  봉건제 확산

 

4. 교회와 국가의 지속적 대립 부각

5. 교권 높였지만 성직자를 세속적 존재로 만드는 결과

 

 

 

*교황권- 13세기 인노켄티우스 3세때 절정에 달함

1. 이단 척결- 1215 라테란 공의회

                     : 성직자 복장 규정, 새 교단 억제, 성직자 사죄법 금지, 유대인 뱃지 달기, 주교의 교회 유지 및 설교 의무 

2. 세속 간섭: 영국 존왕/ 프랑스 필리2세/ 독일 벨프 vs 호엔슈타우펜 분쟁 → 프리드리히2세 선출

3. 4차 십자군, 알비십자군

4. 프란체스코 도미니쿠스 교단 수락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