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8.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 2(미군정 소련정, 전후 국내 정당 수립)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8.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 2(미군정 소련정, 전후 국내 정당 수립)

오늘내일모레 2022. 10. 11. 19:28
728x90
728x90

Ⅳ-1.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2) 8. 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운동

 

 

- 전후 미군정과 소련정의 수립 

미군(45. 9. 8 국내 진입, 9.9 하지- 아베 노부유키 항복 조인체결)

: 미군정 선포

  임시정부, 건국준비위원회, 인민공화국 활동 부정

  일제 총독부체제 그대로 이용

   친미 우익 정부 수립 → 한국민주당 중심 우익 세력 지원

 

소련(45. 8. 9 국내 진입)

: 인민위원회 인정, 친일파 배제

  민족주의 세력 강한 곳에 공산주의자 포함시켜 세력 균형 이루고자 함

  하지만 결국 민족주의자 숙청, 김일성에게 힘 실어줌

 

 

- 전후 국내 정당 수립 시기  

728x90

 

- 전후 국내 수립된 정당 특징 및 정책

건국준비위원회 45. 8. 15- 9.7
좌우 연합 성격
여운형, 안재홍, 조만식 등
치안대 설치, 145개 지부 조직
정치범 석방, 식량대책위원회 설치, 조선 학도대 결성
조선인민공화국 45. 9. 6
미국 진주 → 미국과 협상에서 유리한 입장 차지하고자 수립 + 우익 세력 견제

주석: 이승만
부주석: 여운형

토지와 산업기관의 국유화 등 사회주의 경제제도
의무교육제, 평등한 배급제도 등

but 미군정- 인공 부인, 지방인민위원회 해체 종용 
조선공산당 45. 9. 11
해방 → 8월테제
처음 미군정에 대해 타협적 태도, 3상회의 결정 지지

1946 미군정이 좌익 탄압(정판사 위조사건)하자 신전술 채택(미군정에 대해 비판적, 공격적)
남조선 노동당 46. 11. 23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3당 합당

인민공화국 수립
무상몰수 무상분배 원칙 토지 개혁
8시간 노동제
주요 산업 국유화 
한국민주당 45. 9. 16
보수세력, 친일파 위주
김성수, 송진우 등

초기 임정 추대 표방 → 점차 소극적, 부정적
미군정에 밀착
중도 좌익 세력 배제
토지개혁, 반민족 처벌문제에도 부정적
독립촉성중앙협의회 45. 10. 23
이승만
완전 독립, 38도선 철폐, 신탁통치 반대

처음 좌우협의체 성격
→ 친일파, 민족반역자 제거 둘러싸고 갈등 
(우: 선통일 후친일파 제거/ 좌: 선친일파 제거 후통일) 
→ 조선공산당 탈퇴
임시정부 세력
(김구 + 한국독립당)
1945. 8. 28 선언, 당의/ 당책 새로 채택: 삼균주의, 민주공화제, 계획경제 제도


46. 1. 20 비상정치회의주비회 발족: 신탁통치 절대 반대
      2. 1 비상국민회의 개최(feat. 이승만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최고 정무위원회 설치 합의
      2. 14 남조선대한국민대표 민주의원

47. 9 남북총선거론 제기→ 중도 노선 
 
조선인민당 45. 11
여운형 중심

계획경제 제도
통일전선 실현: 임정과 통합시도(but 임정 거부), 46. 1 4당 코뮈니께 발표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 지지하되, 신탁통치는 자주적으로 해결한다는 절충안
민족자주연맹 1947
김규식 중심
좌우합작운동 참여 (but 성과X) → 민족자주연맹 결성
728x90

+ 전후 노동자와 농민의 대처 

 

노동자- 공장재산관리, 생산활동 지속

농민- 동양척식주식회사나 일본인 토지 접수 → 공동 경작

but 미군정은 노동자나 농민의 이러한 활동 인정하지 않음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