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1920-30년대 농민운동(암태도 소작쟁의, 농촌진흥운동) 본문
Ⅲ-4.
3)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농민운동
: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 농민 피해(고율의 소작료, 경작권 박탈, 지주제 강화)
1920년대 농민운동의 발전
:노동공제회, 소작인 조합 →노농총동맹
1927 조선농민총동맹(자작농 포함, 전국확대)
1923 암태도 소작쟁의: 소작료 낮추고자
→ 초기 농민운동: 소작조건 개선 운동 → 점차 정치적 성격, 반제 투쟁으로 변화
→농민의 투쟁 격화(산미증식계획)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으로 확산
: 비합법적,
정치적 요구(일제타도, 제국주의 반대) +경제적 요구(소작조건 개선 수탈 반대, 일상적 이익과 관련된 요구)
한계) 통일된 역량 결집 X, 중앙지도부 부재
cf) 민족주의 계열- 문맹퇴치운동, 생활개선운동
→ 농촌진흥운동(1932. 7월부터)
총독 우가키 시기
지주 소작제의 불합리성을 법적 테두리 내에서 시정하고자(농민을 체제 내 흡수 목적)
반공주의적 농업정책
방안: 농산어촌진흥, 농공병진, 농가경제 갱생
1932. 9 <자작농지설정계획> - 농지자금 대부 (but 지가 상승, 농지 자금 확보 곤란 등 성과X)
1932 <조선소작조정령>
1934 <조선농지령>
- 지주의 고율 소작료 수탈에 대한 통제, 소작료 감면 청구권 법제화
결과: 소작농 지위 다소 안정, 지주- 자작농은 금융기관에 강하게 종속, 소작쟁의에 대한 통제 강화
→ 한국농촌경제 전반을 일제 금융자본이 지배
1935 코민테른 7차대회, 일본의 파쇼화 → 혁명적 노동운동 위축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8.15광복과 통일국가 수립 1(전후처리 회담) (1) | 2022.10.07 |
---|---|
[근현대사] 식민사관(정체성론, 타율성론, 당파성론)과 식민사관의 극복노력(민족주의, 사회경제사학, 실증사학) (8) | 2022.09.27 |
[근현대사] 1920-30년대 노동운동(원산총파업) (4) | 2022.09.25 |
[근현대사] 민족협동전선(정우회 선언, 신간회) (3) | 2022.09.24 |
[근현대사] 민족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2)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