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3.1운동의 전개(배경, 전개, 의의, 한계)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3.1운동의 전개(배경, 전개, 의의, 한계)

오늘내일모레 2022. 8. 15. 10:10
728x90
728x90

Ⅲ-2. 

2) 3.1운동의 전개

 

배경


- 1917 레닌: 세계 식민지, 반식민지의 민족해방을 지원할 것을 선언

- 1918 윌슨: '민족 자결주의 원칙' 제시 (but 패전국 식민지에만 적용)
  → 민족주의자: 파리 강화회의(1919.1.18-)에 민족 대표 파견하고자
       거족적 민족운동 전개 움직임(각 종교계, 학생들 별도로) → 운동 일원화, 연합전선 수립

- 독립선언문 발표:
  1917 대동단결 선언
  1918 11월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만주 길림
  1919 2.8 독립선언서- 일본 유학생(조선청년 독립단)

 

전개

3.1운동

왜 3월 1일인가? 
- 고종 인산일(3.3)에 참배하러 서울에 집결한 이들을 동원하기 위한 목적

민족대표 33인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

(이때 독립선언서- 최남선 작성, 한용운 공약상장 추가, 비폭력 운동 추구

/ 의의: 3.1운동 점화, 비판: 외세의존적 운동 노선, 확산 단계에서 지도력 행사 포기 )

 

탑골공원에서는 민족대표 오지 않자 학생이 낭독, 만세운동을 벌임 → 전국으로 퍼져나감

운동의 단계
1. 주요 도시에 점화: 지식인, 종교인, 자본가 등 구성
2. 시위 도시 중심으로 확대: 청년, 학생, 상인,교사, 노동자 등( 당시 일제의 착취, 민족적 차별에 시달리던 상황 )
3. 농촌. 산간벽촌으로 확대: 농민들 저항(토지 조사사업으로 피해) - 무장투쟁 형식

일본, 만주, 북간도, 미주, 연해주에서도 시위 참여
노령, 간도 민족주의자: 운동 3단계로 진행시키고자(평화적 시위운동/ 무장시위대의 국내 진입, 무장투쟁/ 강화회의에서의 외교운동: 최종목표) 
728x90

3.1운동의 의의

1. 무단통치 완화, 문화통치 시행 계기

2.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기반 마련, 민중의 계급적 각성

3. 반제국주의운동 → 다른 여러 나라에 영향(5.4운동, 간디 비폭력운동)

 

3.1운동의 한계

이념의 부재, 운동 주체의 역량 부족 → 통일된 지도부 요구 →1919. 4 임시정부의 수립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