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4) 근대 개혁의 추진
what | 갑오개혁 |
when | 1894. 7-12 1차 갑오개혁 1894. 12-95.5 2차 갑오개혁 1895. 6-96.2 을미개혁 |
why | 대내적: 갑오농민군의 요구 - 노비문서 소각, 천인 대우 개선, 지벌 타파에 의한 인재등용, 무명잡세 폐지, 공사채 일체 무효화 대외적: 일본측의 강요- 일본 침략에 맞게 조선 행정, 사회경제 체제 개편 목적 |
how 갑오개혁 전개 |
1894. 6.11 교정청 설치 일본 경복궁 점령 → 제1차 김홍집 내각 성립 - 군국기무처 설치/ 민씨정권 붕괴, 흥선대원군 섭정 → 1차 갑오개혁(94.7-12) 정치: 왕실의 정부와 사무 분리 →의정부와 궁내부 나눔(의정부, 8아문 권한 강화/ 왕권 축소) 6조 →8아문(내무, 외무, 탁지, 군무, 법무, 학무, 공무, 농상무) 대간제도 폐지, 과거제도 폐지 내무아문 밑에 경무청 설치(경찰기관) 청 연호 폐지하고 개국 연호 사용 지방- 13도제 경제: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신식 화폐 장정 수립(은본위제도, 새화폐 유통- 은화, 백동전, 적동전, 황동전) →이로써 일본 화폐 국내 유통 조세 금납제 시행 도량형 통일 왕실과 정부 재정 분리 사회: 신분제 폐지, 16세 미만 조혼 금지, 과부의 재가 허용, 고문 연좌제 폐지 ⇒ 1차 갑오개혁 성격: 갑신정변과 농민군 요구 수용한 근대적 개혁 1894. 9월 일본 청일전쟁에서 승세 → 이노우에 가오루 신임공사로 파견/ 흥선대원군 은퇴 → 일본의 내정간섭 본격화 94 말 군국기무처 폐지 → 제2차 김홍집 내각(총리대신 김홍집, 내무대신 박영효 연립내각) 95 1.7 홍범14조 반포: 청국의 간섭 배제, 왕실의 약화 → 자주독립, 근대국가 수립 → 제 2차 갑오개혁(94.12-95.5) 정치: 의정부, 8아문 → 내각 7부 8도 → 23부 337군 1심재판소- 지방재판소와 개항장 재판소/ 2심재판소- 고등재판소와 순회재판소(사법권 행정부로부터 독립) 경무관 두어 경찰권 일원화 한성사범학교 설립, 외국어학교 관제 발표 지방관의 행정권 축소 규장각 →규장원 경제: 탁지부 산하 관세사와 징세서 둠 육의점 폐지, 상리국 폐지 →상공업 활성화 군제: 군영없애고 군무아문으로 환원 훈련대와 시위대 설치 군사력 강화 꺼려 소홀한 부분있음 ⇒ 2차 갑오개혁 성격: 부국강병책은 배제됨 → 박영효 정변꾀한다는 혐의로 일본으로 망명하여 실각 → 박영효 실각 이후 제3차 김홍집 내각(친러 내각- 이완용, 박정양, 김윤식 등) - 95 삼국간섭 이후 친미, 친러 정책 → 을미사변 → 제 4차 김홍집 내각(친일 내각) → 을미개혁(95.6.-96.2): 태양력 사용, 종두법 실시, 연호 제정(건양), 우편사무 시작, 군제 개편(친위대, 진위대), 단발령 실시, 소학교 설치 cf) 춘생문 사건(95.11): 정동구락부 관료-미국 공사관 협조 → 고종 미국 공사관으로 피신시키려다 사전에 발각 cf) 을미사변, 단발령 실시 → 을미의병 → 친위대가 의병 진압하기 위해 왕궁 경비 소홀한 틈 타 아관파천(96.2-97.2) |
의의 | 조선 정부의 근대적 개혁(봉건적 신분제도 타파) 전분야에 걸친 개혁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요구 수용 |
한계 | 개혁 면에서 토지개혁 등 농민의 열망 반영하지 못함 상공업 진흥이나 국방력 강화 등에 소홀 일본의 조선 침략 발판 마련 |
728x90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오늘은 1차, 2차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원인, 전개과정, 의의, 한계를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독립협회의 설립과 활동(자유국권운동, 자유민권운동, 만민공동회, 의회설립운동) + 노트 정리 방법 공유 (7) | 2022.04.03 |
---|---|
[근현대사]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전개과정, 의의, 한계) + 노트 정리 방법 (10) | 2022.03.26 |
[근현대사] 갑신정변과 조선 중립화론 (7) | 2022.03.18 |
[근현대사]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 (18) | 2022.03.09 |
[근현대사] 개화세력의 대두 (17)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