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갑신정변과 조선 중립화론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갑신정변과 조선 중립화론

오늘내일모레 2022. 3. 18. 10:16
728x90
728x90

오늘은 갑신정변과 조선중립화론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갑신정변

 

갑신정변

what 갑신정변
when 1884.10월 (양력12월)
why 1)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 강화 -온건개화파: 현실 수용/ 급진개화파: 비판

2) 국가 재정난에 대해 뮐렌도르프-당오전 주조/ 김옥균-차관 도입 주장 
하지만 일본에서 차관 도입 실패함

차관 도입 실패로 개화당 입지 위협
청-프전쟁 임박 → 청 군대 절반가량 철수

3) 정변의 기반 마련 - 홍영식 우정총국 총판, 서재필 조련국 사관장, 박영효 수어청/ 일본 지원 약속

how
10. 7
우정국 낙성 축하연 기회 →사대당 요인 살해 
왕과 왕비를 창덕궁과 경우궁으로 옮김

→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정강 마련 

→ 청 위안스카이 군대 창덕궁으로 진입
→ 창덕궁 지키던 일본군 철수
→ 김옥균 등 일본으로 망명  

result
고종- 개혁 무효화, 새로운 정부 구성(심순택, 김홍짐 중심), 우정총국 혁파/ 일본에 망명자 송환 요구

일본- 한성조약 : 배상금 요구, 공사관 신축비 

일본(이토), 중국(이홍장): 텐진조약: 조선에서 양국 군대 철수, 군대 파병시 서로 통고할 것 

의의
교과서 서술: 한국 최초의 근대 국민국가 건설하고자 한 사건 / 위로부터의 근대화

참고서 서술: 
1) 정치:
대내: 전제군주제 → 입헌군주제로 바꾸려고 한 정치개혁
대외: 청과의 종속관계 청산

2) 사회: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제정 →중세적 신분제 청산
재능에 따른 인재 등용 →과거제의 사실상 폐지

3) 경제:
지주전호제 유지, 지조법 개혁안
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 제시하지 못함 

한계
일본의 침략 의도 파악하지 못함
대다수의 관료와 민중들의 지지 끌어내지 못함
토지 문제 등 농민들의 바람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함
국방 문제에 소홀함.
 
  개혁정강 14개조 : 메이지유신을 본보기로 근대 국가 건설하고자 함

1. 청에 대한 조공 허례 폐지
2.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제정
3. 지조법 개혁
4. 내사부 폐지
5. 탐관오리 처벌
6. 환곡 폐지
7. 규장각 폐지
8. 순사 설치: 경찰제도 실시
9. 혜상공국 혁파
10. 옥에 갇힌 자 정상참작
11. 4영 → 1영, 근위대 설치
12. 재정- 호조 관할: 재정일원화
13. 대신, 참찬 의정부에서 정령 의결: 내각 중심 정치
14. 의정부와 6조 외 필요없는 기관 없앰

728x90

조선 중립화론

 

배경:

갑신정변 실패 후 청의 내정 간섭 심화

→ 러시아 통해 견제하고자 함/ 러시아: 남하정책 추진 

   84 조러수호통상조약(베베르 공사관) 

   85 조러비밀협약 추진 - 청의 방해로 실패/

      청 이때 흥선대원군 귀국시킴(민비 견제), 뮐렌도르프 러시아와 가까이 할 것 권유→ 데니로 외교 고문 바꿈

→  영국 거문도 점령(85-87) :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항

 

내용:

부들러(조선 주재 독일 부영사)- 해양 세력 일본과 대륙세력 중국 사이의 충돌 방지하기 위해 중립 선택할 것 제안

  →텐진조약이 조선의 안전 보장해줄 것이라 믿어 흐지부지됨

유길준- 강대국 모두가 보장하는 중립화 주장(강대국의 국제 협약이 보장)

  → 민씨 정권은 유길준을 급진개화파로 여겨 배척하여 성과 이루지 못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갑신정변의 원인, 배경, 전개, 결과, 의의, 한계와 이후 등장한 조선 중립화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