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갑신정변과 조선 중립화론 본문
728x90
728x90
오늘은 갑신정변과 조선중립화론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갑신정변
갑신정변
what | 갑신정변 |
when | 1884.10월 (양력12월) |
why | 1)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 강화 -온건개화파: 현실 수용/ 급진개화파: 비판 2) 국가 재정난에 대해 뮐렌도르프-당오전 주조/ 김옥균-차관 도입 주장 하지만 일본에서 차관 도입 실패함 차관 도입 실패로 개화당 입지 위협 청-프전쟁 임박 → 청 군대 절반가량 철수 3) 정변의 기반 마련 - 홍영식 우정총국 총판, 서재필 조련국 사관장, 박영효 수어청/ 일본 지원 약속 |
how | 10. 7 우정국 낙성 축하연 기회 →사대당 요인 살해 왕과 왕비를 창덕궁과 경우궁으로 옮김 →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정강 마련 → 청 위안스카이 군대 창덕궁으로 진입 → 창덕궁 지키던 일본군 철수 → 김옥균 등 일본으로 망명 |
result | 고종- 개혁 무효화, 새로운 정부 구성(심순택, 김홍짐 중심), 우정총국 혁파/ 일본에 망명자 송환 요구 일본- 한성조약 : 배상금 요구, 공사관 신축비 일본(이토), 중국(이홍장): 텐진조약: 조선에서 양국 군대 철수, 군대 파병시 서로 통고할 것 |
의의 | 교과서 서술: 한국 최초의 근대 국민국가 건설하고자 한 사건 / 위로부터의 근대화 참고서 서술: 1) 정치: 대내: 전제군주제 → 입헌군주제로 바꾸려고 한 정치개혁 대외: 청과의 종속관계 청산 2) 사회: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제정 →중세적 신분제 청산 재능에 따른 인재 등용 →과거제의 사실상 폐지 3) 경제: 지주전호제 유지, 지조법 개혁안 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 제시하지 못함 |
한계 | 일본의 침략 의도 파악하지 못함 대다수의 관료와 민중들의 지지 끌어내지 못함 토지 문제 등 농민들의 바람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함 국방 문제에 소홀함. |
개혁정강 14개조 : 메이지유신을 본보기로 근대 국가 건설하고자 함 1. 청에 대한 조공 허례 폐지 2.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제정 3. 지조법 개혁 4. 내사부 폐지 5. 탐관오리 처벌 6. 환곡 폐지 7. 규장각 폐지 8. 순사 설치: 경찰제도 실시 9. 혜상공국 혁파 10. 옥에 갇힌 자 정상참작 11. 4영 → 1영, 근위대 설치 12. 재정- 호조 관할: 재정일원화 13. 대신, 참찬 의정부에서 정령 의결: 내각 중심 정치 14. 의정부와 6조 외 필요없는 기관 없앰 |
728x90
조선 중립화론
배경:
갑신정변 실패 후 청의 내정 간섭 심화
→ 러시아 통해 견제하고자 함/ 러시아: 남하정책 추진
84 조러수호통상조약(베베르 공사관)
85 조러비밀협약 추진 - 청의 방해로 실패/
청 이때 흥선대원군 귀국시킴(민비 견제), 뮐렌도르프 러시아와 가까이 할 것 권유→ 데니로 외교 고문 바꿈
→ 영국 거문도 점령(85-87) :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항
내용:
부들러(조선 주재 독일 부영사)- 해양 세력 일본과 대륙세력 중국 사이의 충돌 방지하기 위해 중립 선택할 것 제안
→텐진조약이 조선의 안전 보장해줄 것이라 믿어 흐지부지됨
유길준- 강대국 모두가 보장하는 중립화 주장(강대국의 국제 협약이 보장)
→ 민씨 정권은 유길준을 급진개화파로 여겨 배척하여 성과 이루지 못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갑신정변의 원인, 배경, 전개, 결과, 의의, 한계와 이후 등장한 조선 중립화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전개과정, 의의, 한계) + 노트 정리 방법 (10) | 2022.03.26 |
---|---|
[근현대사] 1,2차 갑오개혁, 을미개혁의 전개, 의의, 한계 (11) | 2022.03.21 |
[근현대사]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 (18) | 2022.03.09 |
[근현대사] 개화세력의 대두 (17) | 2022.03.08 |
[근현대사] 개항과 불평등 조약 체제 (36)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