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

오늘내일모레 2022. 3. 9. 10:00
728x90
728x90

오늘은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Ⅱ-2.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개화정책의 추진

 

사절 파견

수신사 1차 김기수(76) - 일동기유
2차 김홍집(80)
- 쌀 유출문제, 인천 개항 반대 입장 전하고자
  일본 전권위임장 없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음
  황준헌 조선 책략 유포: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 → 러시아 견제 목적 
 
cf) 일본- 이 시기 아시아 연대론 '흥아회': 러시아 남하 막기 위해 청, 조선, 일 군사동맹, 조사시찰단 설득 → 김옥균 삼국합종론, 안경수 일청한 동맹론 
 
영선사 81 김윤식 인솔
텐진 기기국, 수사학당, 수뢰학당 등 기술교육 목적 → 기기창 설치 
조사시찰단 81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 윤치호, 유길준 유학생으로 따라감
이때 작성된 보고서(문견사건) 토대로 통리기무아문의 개화정책 추진
보빙사 83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미국에 파견, 유럽 여러 나라도 시찰 

cf) 81.8 조병호- 신수통상장정 초안, 조선국해관세칙조안 가지고 교섭(불평등 조약 개정) → 일본 무성의

 

 

정치제도

80 통리기무아문 +12사 / 5군영 → 2영(무위영, 장어영)

81 별기군 설치

 

728x90

개화정책에 반대: '위정척사운동' 

who 보수 유생
why - 서양 공업 생산품과 조선 농업 생산품 교역하면 국내 경제 사정 어려워진다는 점
- 한번 문호 개방하면 일본 비롯한 세계 열강의 침략 계속될 것 
what 1860 기정진(호남), 이항로(경기 노론) - 통상반대운동, 척화주전론/ 통상수교거부정책 지지
1870 최익현 - 왜양일체론, 개항불가론/ 강화도조약 전후
1880 이만손 - 1881 영남만인소: 조선책략 비난, 김홍집 처벌 요구 / 개화정책, 조선책략 유포 반대 
  → 정부 단호하게 억압(이만손, 유배, 홍재학 능지처참)
1890 기우만, 유인석 의병운동 
한계 근대화 이루기 위한 방법이라기보다 조선왕조의 전제주의, 지주전호제, 양반신분체제 유지,
성리학 사상 체제 유지하기 위한 목적 
의의 서양과 일본의 근대문명이 지닌 침략성, 비도덕성 예견/ 애국적 정서 존재

 

 

임오군란

who 구식군인
when 1882. 6.
why 구식군인 별기군에 비해 차별대우
녹봉미 제대로 지급되지 않음 - 월급에 겨와 모레 섞임, 선혜청에서 정량 빼먹음(착복)
+ 개방정책으로 인해 일본으로 쌀 유출 → 쌀값 폭등
how 구식군인들 - 흥선대원군에게 도움 요청 / 일본 공사관 습격, 민겸호 비롯 민씨 정권의 고관 살해
→ 명성황후 충주로 피신, 청에 원조 요청
→ 흥선대원군 군란 수습, 개화정책 중단
   - 통리기무아문 폐지, 2영 없애고 5군영 부활, 삼군부 회복, 위정척사운동으로 유배된 유생 석방
result 청: 조선의 요청 → 군대 파견, 흥선대원군 압송
    민씨 일파 중심 친청정권 수립- 외아문, 내아문 설치, 친군영- 그 아래 4영(지휘권: 원세개 장악)
    위안스카이 필두로 한 군대 상주
    마젠창, 뮐렌도르프 고문으로 파견
    조청 상민 수륙무역 장정

일본: 하나부사 공사 교섭 대표로 조선에 파견
       제물포 조약 체결 -배상금, 일본 공사관의 호위병 주둔
       + 수호조규 속약: 거류지 50리. 2년 후에 100리, 1년 후에 양화진 개잔(내지무역권)
          →정치, 경제적 침투
       3차 수신사 박영효 파견

임오군란
⇒ 94년까지 청의 경제적 침투 일본과 대등한 수준 / 반면 일본 정치, 경제적 침투 위축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고종 시기 개화정책의 추진 내용, 사절단의 파견, 위정척사운동, 임오군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