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화- 한글창제, 역사서, 지도, 지리지, 의례서, 법전

by 오늘내일모레 2022. 12. 22.
728x90
728x90

조선 초 문화: 민족적, 실용적 성격

15세기 관학파: 중앙집권체제 강화, 부국강병, 민생안정 도움되는 것 어느 정도 수용

 

한글

- 한글 창제:

1446 세종 반포

우리 고유 문자 필요

한자음의 혼란 줄임

피지배층 교화 → 양반중심사회 유지

 

- 한글 특징: 

28자의 표음문자/ 과학적, 독창적/ 배우기 쉬움

 

- 보급:

용비어천가(조선왕조의 창업 칭송), 월인천강지곡(부처님의 덕 기림) 등 간행 + 석보상절, 동국정운(명 홍무 정문 번역),  

불서, 농서, 윤리서, 병서 등 한글로 번역

서리에게 배우게 하여 행정 실무에 이용, 채용시험도 훈민정음으로 출제

 

- 의의: 일반 백성들도 문자 생활 가능, 민족문화 발전의 기반

 

 

 

역사서, 지리지, 지도, 의례서, 법전

역사서 조선왕조의 정당성, 성리학적 통치규범 정착  → 국가 차원의 역사서 편찬 

조선왕조 실록(태조- 철종): 춘추관, 성주, 전주, 충주 사고에 비치 
 → 국조보강: 국왕의 선정, 치적에 고나한 내용 간추림

정도전 <고려국사>
15세기 중엽 <고려사>, <고려사절요>
 - 고려사: 세종-문종/ 김종서, 정인지/ 기전체/ 자주적입장/ 친왕적
 - 고려사절요: 문종/ 김종서/ 편년체/ 사대적 입장/ 신료 중심

성종 대 동국통감(고조선- 고려 말)
16세기 박상- 동국사략
지도, 지리지 중앙집권, 국방력 강화  → 지리지, 지도 편찬

- 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태종), 팔도도(세종), 동국지도(세조), 조선방역지도(16세기)

- 지리지: 팔도지리지(세종), 동국여지승람(성종), 신증동국여지승람(중종)
의례서 유교적 질서확립, 성리학적 지배질서
 → 삼강행실도(세종/ 유교적 덕목 '민'에게 장려/ 효자,충신,열녀 사례),
      국조오례의(성종/국가행사의례정리)
       16세기 동몽수지, 이륜행실도
법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정도전), 경제육전(조준)
경국대전(세조-성종): 유교적 통치질서. 문물제도 완성 의미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