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전 본문
728x90
728x90
성리학:
나라 다스리는 기본 이념/ 16세기 정치적 측면 뿐 아니라 일상의 생활윤리적 측면까지 확대
명분론 중시 → 신분제 정당화, 유교적 예절 강조
고려말, 조선초
: 관학파- 부국강병 추구
길재학파: 교화에 대한 통치/ 성리학적 명분론 → 공신, 외척 비리 비판
세조- 패도주의 성행 → 도통론, 명분론, 성리학 발달 촉진
성종- 사림 진출
16세기
사림: 도덕성, 인간 심성에 관심
서경덕: 주리론
조식: 노장사상 포용, 실천성 강조
이언적: 주리론
이황: 주리론/ 이기이원론/ 이상주의적 성격/ 인간의 심성 중시(도덕적 행위의 근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왕 스스로가 인격, 학식 수양 위해 노력해야) 등/ 일본에 전해져 일본 성리학 성립에 도움
이이: 주기론/ 이기일원론/ 동호문답, 성학집요(현명한 신하가 왕의 수양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 등/ 통치체제 정비, 수취체제 개혁, 십만양병설 등 개혁방안 제시
16세기 이후 학파 성립: 학설, 지역 차이
선조- 동인(북인, 남인), 서인 분화
인조 말엽
서인 산림 주도
척화론, 명분론 대세
사회 정책에 대한 논쟁(대동법, 호포법)
17세기 예학 대두
양난으로 무너진 신분질서 회복
- 서원과 향약: 백성들에게 성리학적 도덕 윤리 확산
향교: 지방교화, 성현제사, 교육 목적/ 부, 목, 군, 현/ 중앙에서 교수, 훈도 파견
서원: 선현 제사, 성리학 교육/ 사립교육기관/ 국가- 토지, 노비, 서적 지급, 면세 특권
중종 주세붕- 백운동서원(소수서원, 안향 비향) 시초
+ 당파별 결속 강화 → 붕당의 근거지
→ 중소지주층의 지식인화/ 사림 확대 재생산
향약: 사림의 세력 기반, 상민층에 유교윤리 보급
중종 조광조 '여씨 향약' 번역, 4대 덕목 전파(덕업상권, 환난상휼, 예속상교, 과실상규)
향촌의 공동조직에 유교적 이념 결합 →유교적 덕목에 따라 지방 농민 교화
향촌 자치 기능- 향촌사회 질서 유지, 치안 담당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음악, 문학 (4) | 2022.12.26 |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불교, 도교, 미술 (3) | 2022.12.25 |
[조선시대사] 조선 초 기술(천문학,의학, 농업, 인쇄술, 제지술 등) (3) | 2022.12.23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화- 한글창제, 역사서, 지도, 지리지, 의례서, 법전 (2) | 2022.12.22 |
[조선시대사] 정부의 사회시책(각종 제도, 법률, 경국대전 의의) (3)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