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언론기관의 발달(한성순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문, 신문지법)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언론기관의 발달(한성순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문, 신문지법)

오늘내일모레 2022. 5. 2. 10:10
728x90
728x90

Ⅱ-5. Ⅱ-5.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2) 언론기관의 발달

한성순보 1883 - 열흘에 한번
- 최초의 신문, 순한문, 관보
- 갑신정변으로 폐간
한성주보 1886 - 국한문 혼용
- 최초의 상업 광고
- 1888 박문국 폐지와 함께 폐간
독립신문 1896. 4. 7 - 관민 합작
- 일간지
- 국문 전용/ 띄어쓰기/ 영문판 간행
- 1899 종간
제국신문 1998 - 이종일, 이승만 발간
- 하층민 부녀자 주 독자였음
- 신교육과 실업 발달 강조
황성신문 1998 - 남궁억, 나수연 발간
- 국한문 혼용
- 유림층 지식인 대상
- 주된 논지: 구본신참에 의한 점진적 개혁, 민권신장, 관민단결, 제국주의 비판 등
- 장지연(시일야방성대곡) - 이후 발행정지, 발행정지 이후 항일논조 완화 
- 신채호, 주시경, 유근, 박은식 등 주필
대한매일신보 1904 - 베델, 양기탁 발행
- 국채보상운동에 참여
- 순한글 → 국한문 혼용, 영문판
- 강한 항일논조 
→ 일제: 베델 추방, 양기탁 구속 등 탄압
 일제 강점 이후 매일신보됨. 조선총독부 기관지 
만세보 1906 - 천도교계 신문, 여권신장에 관심
경향신문 1906 - 천주교계 신문

1907 일제 신문지법으로 탄압

1910 합방 이후 신문 전체 폐간(경성일보, 매일신보만 남겨둠/ 조선총독부 기관지)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