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러일전쟁, 한일신협약, 을사조약, 경술국치)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러일전쟁, 한일신협약, 을사조약, 경술국치)

오늘내일모레 2022. 5. 13. 10:10
728x90
728x90

Ⅲ.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1. 일제의 식민통치와 민족의 수난

1) 20세기 전반의 세계 

2)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

3) 식민통치체제의 구축과 전개

4) 경제수탈과 민중의 생활

5) 전쟁 동원과 군위안부, 징용 

 

노트 정리 팁)

새로운 대단원이 들어갈 때 노트 앞부분에 대단원 내용을 먼저 정리하여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합니다

 

Ⅲ-1

2) 일제의 침략과 국권피탈

 

- 러일전쟁

배경
청일전쟁(94.6-95.4) 이후 시모노셰키조약(한국에 대한 우위권 확인, 요동반도 점령)
→ 러, 프, 독 삼국간섭(우위권 위협, 요동 반환)

→일: 1902 영국- 영일동맹(영국- 러시아 남하 견제)
러: 청과 조선에 대한 영향력 확대
1896 동청 철도부설권 이양
1898 요동반도 여순, 대련 조차
1899 조선-마산포 조차하고자(일본의 반대)
1900 의화단사건- 열강 북경점령, 러시아 사태 수습 뒤에도 군대 철수 거부
1903 압록강 하류 용암포 점령, 군사 시설 설치 
  → 일본: 만주에서 군대 철수, 한반도에서의 일본 이권 승인 요구
      러시아: 철군 거부,
      일본이 한반도 군사전략상 이용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한국에서의 정치적, 경제적 우월성 인정,
      북위 39도 이북 한반도- 러, 일 간 중립지역으로 정할 것 제의 
  → 타협X


cf) 96 베베르-고무라 각서, 로마노프 야마가다 각서, 98 로젠니시 협정

경과, 결과
1904. 2. 8 일본- 중국의 여순 기습
1904. 2. 9 인천항에 정박중인 러시아 함대 격침
1904. 2. 10 러시아에 선전포고/ 봉황성, 랴오량, 봉천, 여순 등 일본군에 점령 
               러시아 발틱함대 동원/ 그러나 대한해협에서 일본에게 참패 

1904. 2. 23 한일의정서: 군사전략상 필요한 곳 사용
 
1904. 5. 31 대한시설강령: 일본군대의 한국 주둔, 철도부설 중심의 교통, 통신기관 장악,
                                  일본의 한국 외교, 재정 감독, 농업 임업 등 각 산업분야에서의 척식계획

1904. 8. 22 제1차 한일협약: 고문정치(외교고문: 스티븐스, 재정고문: 메가타 다네타로)

1905. 7. 다쓰라 태프트 협약: 미국의 필리핀 점령 인정, 일본의 한국 점령 인정
1905. 8. 제 2차 영일동맹: 한국에 대한 지배권 인정
1905. 9 포츠머스 조약: 미국의 중재, 일본의 한국 내에서 정치, 군사, 경제 상 지배 인정,
                              일본의 한국에 대한 조치 간섭X

1905. 11. 17 을사조약: 통감부 설치(외교에 대한 사항 관리/ 외교권 뿐 아니라 내정도 관여)
                              외교권 박탈, 서울 주재 각종 공사관 철수 
→ 통감 정치(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2대: 소네 아라스케/ 3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이후
1907. 6 네덜란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 파견(이준, 이상설, 이위종)
→ 일본의 부당성 여론에 알리고자 함
하지만 한국 보호국이어서 독자적 외교활동 불가능 

 

 

- 국권의 상실

1907. 6. 헤이그 특사 파견 

→ 고종 퇴위, 순종 즉위, 한일 신협약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1907.7.24):
통감의 권한 강화, 차관정치(정부 중요 조직에 모두 일본인 관리 임용), 한국 군대 해산(7.31), 사법권의 일본에의 위임

+ 신문지법, 보안법 

 

1909. 7. 6 한국병합에 관한 방침: 일본군 주둔, 헌병경찰 증파, 일본인 이주, 일본인 관리 권한 강화, 남한 대토벌

1909. 7. 12. 기유각서: 한국의 사법권, 감옥 사무 탈취, 군부 폐지

1910 경찰권 강탈

 

1910. 8. 29 한일병합조약(경술국치)

: 3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 진행

8월 22일 조약 성사, 29일 뒤늦게 공표

황제의 어새만 찍히고 이름자 서명 빠짐(순종의 서명 거부)

 

→ 국내: 황현 자결, 홍범식 김도현 등 순국

국외: 블라디보스토크 교민: 성명회 결성, 투쟁/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 공동대회 개최

728x90
*식민지 전락 원인 분석 
- 대한제국 정부의 무능과 부패
- 국민주권 정부 수립못한 국민적, 역사적 조건
- 일본의 야만적 침략주의
- 이에 대한 제국주의 열강의 원조와 승인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