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근현대사 14-20번까지) 본문

수능 한국사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근현대사 14-20번까지)

오늘내일모레 2022. 3. 27. 10:10
728x90
728x90

24일 모의평가가 끝나고 나서야 이 글을 마무리하게 되네요! 

 

 

14번 문항입니다.

일제의 통치 내용를 주제로 선정하고 헌병 경찰의 권한, 토지 조사 사업 등을 이야기합니다.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방식을 떠올리면 됩니다. 

 

① 헌의 6조- 1898년 독립협회 관민공동회에서 결의

② 장용영 설치- 조선 정조

③ 대한국 국제- 1899 대한제국

④ 조선 태형령- 1910년대 일본의 통치 

⑤ 유신 헌법 제정- 1972 박정희 정권

 

답은 4번입니다 

 

15번 문항입니다.

(가) 지역의 독립운동을 조사하면서 신한촌, 권업회, 대한 국민 의회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명칭들은 다 연해주 지역과 관련된 독립운동입니다.

① 신라방 - 당나라 때 신라인 거주지

② 청해진 건설- 통일신라 장보고, 완도

③ 백두산 정계비- 조선 숙종

④ 구미 위원부가 설치- 임시정부, 미국

⑤ 대한 광복군 정부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 연해주 

 

답은 5번입니다.

 

728x90

16번 문항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전개된 (가)에 대해 물으면서 박은식의 한국독립 지혈사, 정인보의 5천년간의 조선의 얼, 조선어학회의 활동들을 소개하고 있네요. 보기를 잘 읽어본다면 민족 문화와 관련된 것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① 브나로드 운동- 1930년대 농촌계몽운동

② 좌우합작운동- 해방 이후

③ 6.10 만세운동- 1926년 

④ 민족문화 수호운동

⑤ 신탁 통치 반대 운동- 해방 이후 

 

답은 4번입니다

 

 

17번 문항입니다

김원봉이 이 단체 결성을 주도하였다고 나오고 최수봉- 밀양 경찰서 폭탄 투척/ 김익상 - 조선 총독부 폭탄 투척/ 나석주-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탄 투척 내용이 나옵니다. 김원봉의 단체 결성으로 보았을 때 의열단, 조선의용대 등으로 좁혀볼 수 있겠습니다. 또 활동 내용들이 경찰서, 총독부, 동양 척식회사 등에 의거활동을 벌인 것으로 보아 의열단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105인 사건으로 해체- 신민회

② 국채 보상운동을 주도- 서상돈 등

③ 집강소 통해 폐정 개혁 추진- 동학농민운동

④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 대한자강회

⑤ 조선 혁명선언을 활동지침으로 삼음- 의열단/ 신채호가 작성

 

답은 5번입니다. 이 문제는 사실 단골 문제이며, 의열단의 활동과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을 연결짓는 형태로 자주 나오므로 주목해서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18번 문항입니다.

(가) 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이한열,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민주헌법 쟁취 국민 평화 대행진, 6.29 선언 등이 키워드로 나옵니다. 그렇다면 이 민주화운동은 6월 항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① 3.15 부정선거에 항의- 4.19혁명

② 신간회의 지원을 받아 확산- 광주학생항일운동

③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끌어냄- 6월 항쟁

④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추진- 갑오개혁

⑤ 일본과의 굴욕적인 국교 정상화 반대- 6.3 시위(박정희 정권)

 

답은 3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민주화운동 답 찾기 키워드: 

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답을 찾을 수 있는 키워드들은 확실한 편입니다.

민주화 과정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면 좋겠지만,

수능 한국사 문제에서 답을 찾기 위해서라면 이 정도 키워드들을 이해하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습니다.  

 

4.19혁명- 3.15부정선거/ 김주열/ 이승만의 하야

5.18민주화운동- 신군부의 쿠데타/ 신군부의 폭력적 진압/ 시민군

6월 항쟁- 이한열/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 6.29선언 / 직선제 개헌

 

 

19번 문항입니다.

이 전쟁과 관련하여 지문에서 북한군, 유엔군, 국군, 서울탈환 등의 키워드가 나옵니다. 이 전쟁은 6.25 전쟁이겠습니다. 현대사 문제에서 빠지지 않는 문제입니다. 

① 자유시참변- 1920년대 

② 인천상륙작전 -6.25전쟁

③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년 고종/ 흥선대원군 집권

④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박정희 정부

⑤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1945년 12월

 

답은 4번입니다. 

 

 

20번 문항입니다.

늘 그렇듯 남북관계 문제입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이 분단 이후 최초로 열렸으며 개성공단 건설,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음을 이야기합니다. 김대중정부의 이야기입니다.  

① 전주 화약이 체결- 동학농민운동

② 한국광복군 창설- 1940년/ 임시정부의 군대

③ 5.10 총선거 실시- 1948년 

④ 남북조절위원회 설치- 박정희정권/ 7.4남북공동성명 합의사항 추진 기구

⑤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년 김대중 정부

 

 

답은 5번입니다. 통일에 대한 문제는 거의 고정적이기 때문에 한번 정리해놓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은 2021년도 3월 모의평가를 마무리하여 해설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