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1학년도 3월 모의평가 한국사 근대사 11번-13번까지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번 문항입니다.
지문을 읽어보니 '임금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고 있으며'라는 말이 나옵니다. 아관파천(1896-97)을 의미하겠죠.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간 것이 아관파천이며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라는 내외의 압력에 따라 환궁하고 대한제국을 수립하였던 사실을 이해하면 연도를 외우지 않더라도 풀 수 있습니다.
① 병인양요 1866 -강화도조약 1876
② 강화도조약 1876-을미사변 1895
③ 을미사변 1895- 대한제국 수립 1897
④ 대한제국 수립 1897 -국권피탈 1910
⑤ 국권피탈 1910- 3.1운동 1919
답은 3번입니다.
12번 문항입니다.
(가)인물이 집권할 당시 경복궁 중건을 위해 원납전을 강제로 징수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러면 (가) 인물은 흥선대원군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급진개화파
② 교정도감을 설치하였다.- 고려 무신정권기
③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고려 광종
④ 척화비 건립을 주도하였다. - 흥선대원군
⑤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였다. - 이성계
답은 4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흥선대원군의 정책
1) 왕권강화책: 비변사 폐지, 서원 철폐, 경복궁 중건(당백전, 원납전 징수)
2) 민생안정책: 호포제(양반에게도 군포 징수), 사창제(환곡 개혁)
3) 통상수교 거부정책: 병인양요, 신미양요, 척화비 건립
13번 문항입니다.
지문을 살펴보면 이위종이 헤이그에서 영국 기자와 인터뷰하는 내용입니다.
황제 폐하의 재가 없이 일본의 강압에 의해 맺어진 조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헤이그 특사 파견의 원인이자 일본의 강압으로 맺어진 조약은 을사조약이겠습니다
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을사조약
② 독립문이 건립되었다. -97, 독립협회와 관련
③ 치안유지법이 제정되었다.- 1925
④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다.- 1894
⑤ 부산 외 2개 항구가 개항되었다. - 1876, 강화도조약
답은 1번입니다.
오늘은 근대사 문제를 풀이해보았습니다.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도 3월 모의고사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1-11번까지) (9) | 2022.03.28 |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근현대사 14-20번까지) (17) | 2022.03.27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조선시대 7-10번까지) (7) | 2022.03.15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고려시대 4-6번까지) (21) | 2022.03.15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고대사 1-3번까지) (5)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