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조선시대 7-10번까지를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7번 문항입니다. 조선 초 왕위 계보표가 나오고 왕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조선 왕조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을 외쳐본다면 (가)는 태종, (나)는 세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 중에도 (가)는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했다는 내용과 (나)는 정변(계유정난)을 통해 단종을 쫓아내고 왕이 되었다는 내용에서 태종과 세조인 것을 짐작해볼 수 있겠습니다.
①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광해군부터
② 별기군을 운영하였다.- 조선 고종 개화정책의 일환
③ 골품제를 정비하였다.- 신라
④ 6조 직계제를 시행하였다. - 태종, 세조
⑤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고려 공민왕
답은 4번입니다. 가끔씩 6조 직계제와 의정부서사제에 대해 묻는 문제가 나옵니다.
<더 알아보기>
- 의정부 서사제:
6조 판서가 담당업무를 의정부에 보고하도록 함
의정부의 권한 강화
왕권과 신권의 조화 강조
태조때부터 시행→ 태종 6조직계제 시행→ 세종 의정부 서사제 다시 시행 → 세조 6조직계제 시행→ 중종 다시 의정부 서사제 복구
- 6조 직계제:
6조의 판서가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함
재상권 약화, 왕권 강화 목적
강력한 왕권강화정책 지향한 태종, 세조 대 실시
8번 문항입니다. 지도에 왜군이라는 내용이 나와 쉽게 힌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헌, 곽재우, 조헌 등이 의병으로 활약했다는 내용이 나오네요. 그러면 (가) 전쟁은 임진왜란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자주 나오는 문제입니다.
① 계백이 황산벌에서 항전하였다. - 삼국시대
②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다.- 병자호란
③ 권율이 행주 대첩에서 활약하였다.- 임진왜란
④ 서희가 적장과 외교 담판을 벌였다. -고려/ 거란의 1차 침입
⑤ 배중손이 삼별초를 이끌고 항쟁하였다. -고려
답은 3번입니다.
9번 문항입니다. 이 농법은 양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 조선 후기 확산된 농법이겠습니다. 그리고 김매기에 드는 노동력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이 농법은 모내기법이겠습니다.
① 우경이 도입되었다.- 삼국시대 /신라 지증왕
② 광작이 유행하였다.- 조선 후기/ 모내기법과 관련
③ 녹읍이 폐지되었다. - 삼국시대/ 신라 신문왕
④ 전시과 제도가 시행되었다.- 고려
⑤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다.- 이승만정부
답은 2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모내기법: 조선 후기 전국적 확산
노동력 적게 들고 수확량 증가→ 광작(한 사람당 넓은 토지 경작) 가능
→ 소수 지주는 부농으로 성장, 대다수의 전호는 소작지 얻기 힘들어 임노동자, 유민으로 전락
10번 문항입니다. 사회 변동과 문화의 새 경향으로 유형원이 균전론을 주장했다는 내용, 정약용이 여전론을 제시했다는 내용, 박제가가 청과의 통상을 확대하자는 주장을 했다는 내용 등이 나옵니다. 토지와 관련된 이론들을 내세우거나 청과 상업을 활성화하자는 내용이 나오므로 실학자들의 주장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중농학파, 중상학파들의 주장입니다.
그렇다면 답은 2번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실학:
조선 후기 성리학이 교조화되자 사회 개혁 성격을 가지고 등장
학문은 실생활은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 중농학파: 농업의 개혁 주장
대표인물: 유형원(균전론-신분에 따른 토지 분배), 이익(한전론-최소 토지 매매 금지), 정약용(여전론-마을 공동생산,노동에 따른 분배) -수능 한국사에서는 균전론, 한전론, 여전론 내용 묻지 않음, 인물 정도만 알아도 가능
- 중상학파: 상공업 활성화 주장/ 청과의 통상 확대 주장(북학파라고도 불림)
대표인물: 박제가(북학의-청의 선진 문물 적극 수용 주장), 박지원(열하일기-상공업의 중요성 부각)
이렇게 3월 모평 한국사 조선시대 7-10번까지 문제를 풀이해보았습니다:)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근현대사 14-20번까지) (17) | 2022.03.27 |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근대사 11-13번까지) (26) | 2022.03.19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고려시대 4-6번까지) (21) | 2022.03.15 |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고대사 1-3번까지) (5) | 2022.03.14 |
[2021년도 9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현대사 18-20번까지) (6)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