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5부 -신라 골품제와 관등의 변화 본문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골품제도의 변화
1) 법흥왕 7년(520) 이전 골품과 관등
간 | 골족 1. 이벌찬 2. 이찬 - 7중 나마 3. 파진찬- 6중 나마 4. 아찬- 5중 나마 5. 일길찬- 4중 나마 6. 사찬- 3중 나마 7. 급찬- 중나마 |
비간 | 5두품 8. 나마 4두품 9. 사지 3두품 10. 길사 2두품 11. 오 1두품 12. 선저지 |
2) 법흥왕 7년(520)부터 진골이 독자 신분으로 성립할 때까지 골품과 관등
간 | 골족 1. 이벌찬 2. 이찬 -9중 나마 3. 잡찬 - 8중 나마 4. 파진찬-7중 나마 5. 대아찬- 6중 나마 →1-5까지 자의(관복) 6. 아찬 - 5중 나마 7. 이길찬- 4중 나마 8. 사찬 - 3중 나마 9. 급찬 - 중나마 → 6-9까지 비의 |
비간 | 5두품 10. 대나마 11. 나마 → 10-11 청의 4두품 12. 대사 13. 사지 14. 길사 15. 대오 16. 소오 17. 선저지 → 12-17 황의 |
728x90
3) 진골 성립, 6두품 발생 이후 골품과 관등
진골 | 1. 일벌찬 2. 아찬- 4중 아찬 3. 잡찬- 3중 아찬 4. 파진찬 - 중 아찬 5. 대아찬 → 1-5까지 자의 |
비 진골 | 6두품 6. 아찬 7. 일길찬 8. 사찬 9. 급찬 → 6-9까지 비의 5두품 10. 대나마 11. 나마 → 10-11 청의 4두품 12. 대사 13. 사지 14. 길사 15. 대오 16. 소오 17. 조위 → 12-17 황의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시기 별로 구분하여 골품제의 변화 과정을 정리하면 좋습니다
오늘은 시기별로 골품제와 관등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골품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발해 1부- 발해의 왕 계보, 발해의 정치제도 (노트 정리 팁 포함) (10) | 2022.03.31 |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6부 -신라 골품제 내용 정리 (11) | 2022.03.25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4부 -신라 중대의 특징, 통일신라의 외교 (12) | 2022.03.23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3부 -통일신라의 정치체제(중앙, 지방, 군사) (15) | 2022.03.22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2부 -무열왕부터 혜공왕까지 신라 중대 (11)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