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발해 1부- 발해의 왕 계보, 발해의 정치제도 (노트 정리 팁 포함)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발해 1부- 발해의 왕 계보, 발해의 정치제도 (노트 정리 팁 포함)

오늘내일모레 2022. 3. 31. 10:10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발해의 왕 계보, 정치제도, 지방제도, 군사제도 등 체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해의 왕 계보 

노트 정리 팁) 계보를 정리하시 때 세기, 신라왕 등을 표기해서 보면 왕이 재임했을 시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고왕/ 무왕/ 문왕/ 폐왕/ 성왕/ 강왕/ 정왕/ 희왕/ 간왕 : 발해 전기

선왕/ 이진왕/ 건황왕/ 현석왕/ 위해왕/ 인선왕: 발해 후기 

 

2. 발해의 건국과 정치제도 

1) 위치: 길림성 동모산 근처

2) 건국: 고구려 유민 + 말갈 유민

걸사비우(말갈장수), 걸걸 중상(고구려 장수) - 영주 일대 강제 이주 당하여 당의 착취를 받음

→ 영주 탈출하여 당군의 공격을 받음

→ 걸사비우 세력 정면 대결 시도하였으나 격파 당함

→ 이 때 걸걸중상 죽자 대조영이 말갈인들까지 규합하여 동쪽으로 이동

→ '진국' 건국

 

3) 민족 구성

지배층 핵심: 고구려인

피지배층 : 말갈인 구성

728x90

 

4) 정치제도: 

중앙 : 3성 6부제 : 당의 선진문물 수용 + 독자성 유지 

 

3성 - 정당성이 상위 위치, 대내상이 수상 자격 

- 정당성(수상: 대내상): 정령제정, 왕명진행 / 다찾: 상서성/ 뿌샘: 입안, 의결

- 선조성(좌상): 왕명 반포/ 다찾: 문하성/ 뿌샘: 선조성과 중대성이 의결된 사항 나누어 받음

- 중대성(우상): 왕명 작성/ 다찾: 중서성   

 

노트 정리 팁) 단권화할 때 책 마다 표현이 조금씩 다른 경우, 각 책 내용을 비교하여 적어두면 좋아요

이 때 다찾(다시 찾는 우리 역사- 한영우), 뿌샘(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비교 

 

cf) 당의 정치제도

3성이 대등 

3성: 상서성- 집행/ 문하성- 의결/ 중서성- 입안 

 

6부:

좌- 충부(이부 역할), 인부(호부 역할),  의부(예부 역할)

우- 지부(병부 역할), 예부(형부 역할), 신부(공부 역할)

 

+ 중정대- 감찰, 문적원- 문한, 주자감- 교육 담당 

 

5) 지방제도: 5경 15부 62주 

- 5경: 상경 용천부,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 남경 남해부, 서경 압록부

(부여의 4출도 전통과 관련)

15부 (도독)

62주 (지사)/ 현- 현승, 촌락- 도령

- 외형적으로 주현제이나 실제로 주현제와 부족제 이중 구성

- 고구려계 유민: 주, 현 지방관 통치/ 말갈계 유민: 수령 지휘 하 자치생활, 지방관의 간접 통치 

 

+ 상경 중심으로 5도道 정비

: 당과 교역- 조공도, 관주도/ 신라과 교역- 신라도/ 거란과 교역- 거란도/ 일본과 교역- 일본도

 

 

6) 군사제도: 중앙군 10위 + 지방군/ 군민개병제: 절충부 설치 

 

 

오늘은 발해의 왕 계보를 살펴보고, 발해의 정치제도를 중앙 통치제도, 지방통치제도, 군사제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