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3부 -통일신라의 정치체제(중앙, 지방, 군사)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3부 -통일신라의 정치체제(중앙, 지방, 군사)

오늘내일모레 2022. 3. 22. 10:24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통일신라의 정치체제를 중앙, 지방, 군사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정치체제 

중앙
법흥왕: 병부, 상대등 설치
진흥: 품주
진평: 위화부(이부), 조부, 예부, 영객부, 승부
진덕: 품주-집사부(중시), 창부 나눔, (좌)이방부
무열: 사정부
문무: 선부, 우이방부
신문: 공장부, 예작부
 
집사부 아래 13부 두고 행정업무 분담 (집사부:흥덕왕 때 집사성 격상)

※신라 6전제 특이점
1. 영객부, 예부 분치
2. 선부, 승부 분치
3. 위화부와 당의 이부 차이 있음- 신라의 족적 전통  
    위화부의 경우 골품제가 있어 인사일 적음

지방
9주 5소경

- 9주:
1) 한산주, 우수주, 하서주, 사벌주, 웅천주, 완산주, 무주, 청주, 삽량주
 → 경덕왕(757): 한주, 삭주, 명주, 상주, 웅주, 전주, 무주, 강주, 양주
2) 신라 땅 5주 + 백제 가야 지역 4주 + 고구려 땅 북방의 주에 편입
3) 9주의 군주 파견→ 문무왕 때 총관 → 원성왕 때 도독 : 군사적 성격 → 민정적 성격

- 5소경:
  지증왕 아시촌소경
  진흥왕 국원소경(충주), 선덕여왕 북소경(강릉)
  →통일 이전 왕경이 동남쪽으로 치우친 점 보완, 지방 지배의 거점 역할

  통일기- 아시촌소경, 북소경 폐지
  문무왕 북원소경(원주), 금관소경(김해)
  신문왕 서원소경(청주), 남원소경(남원/고구려유민집단)
  경덕왕 국원소경 → 중원소경(충주/대가야 통합 이후 가야 지배층 거주 )
  →통일기 지방 지배 거점, 고구려 백제 가야 신세력 소경에 분산배치하여 견제, 회유
  → 이후 견제, 회유 불필요해지자 지방 문화의 중심지 기능/ 경덕왕 소경→경 

- 군(당주), 촌(도사) →군(군태수), 현(현령, 소사) 
+ 향, 부곡 


군사
9서당 10정

- 9서당: 중앙군, 옷깃 색으로 부대명칭 정함. 진평왕- 신문왕 대. 민족 융합
- 10정: 지방군, 주와 군사조직 연결 보여줌, 각 주에 1정, 한산주에 2정(지역 넓고 국방상 요지)
   
   + 5주서(강주, 전주, 한주, 삭주, 명주)- 문무왕, 국경의 3변수당
 

+ 상수리 제도(기인제도, 경저리제도):

지방 호족의 일부를 중앙에 올라와서 머물게 함

지방과 중앙의 연락사무, 공물과 연료 조달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