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경제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경제

오늘내일모레 2022. 3. 13. 10:13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삼국시대의 경제에 대해 농업, 수공업, 상업, 조세제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농업

각 국가들은 농민 경제 안정화를 농업 생산력 높일 수 있는 시책, 구휼법 등을 시행함.

1) 농업 생산력 관련 시책:

- 4-5세기 철제 농기구 보급

- 우경, 황무지 개간 장려

- 저수지 축조, 정비(수리 시설 확충)

- 고구려: 전사법(집단적 공동경작)

 

2) 구휼법

- 고구려: 진대법 실시(을파소)

 

 

2. 수공업과 상업

1) 수공업:

관영수공업 형태

노비에게 국가에 필요한 물품 생산하도록 함

백제 후기 내관 12부에 수공업 관계의 관부 많았음

 

2) 상업:

- 국내 상업:

수도 등지 도시에만 시장 형성

소지 마립간 시장 개설

지증왕 동시, 동시전(시장 감독) 설치

 

- 국제 상업:

고구려- 북방, 남북조와 무역

백제- 남조, 왜와 무역

신라- 고구려, 백제 통한 무역 → 당항성 통한 직접 대중국 무역

728x90

 

3. 조세제도

1) 조세 부과 기준

고구려- 경무법(밭이랑)

백제- 두락제(파종량)

신라- 결부법(수확량)

 

2) 조세

고구려 - 세: 사람 기준(인두세), 포 5필과 곡 5석
       유민의 경우 3년에 1번, 10인을 1조로 세포 1필
- 조: 호세
       빈부격차에 따라 3등호로 구분하여 1석, 7두, 5두

 -특징: 호세보다 인두세가 큼. 이는 고대사회의 특징이기도 함.
신라 -진흥왕 때 품주(재정 관장 관부) 설치
 진덕여왕 때 집사부, 창부(재정담당)으로 분화

-진평왕 때  조부(공부 관장) 설치

 

3) 공물: 특산물 납부

4) 역: 요역, 군역/ 15세 이상 남자 동원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