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문화 본문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삼국시대 문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유학, 역사편찬, 불교, 도교, 고분, 건축, 기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유학 | 고구려: 태학, 경당 설치/ 유교경전학습(광개토대왕비, 중원고구려비-세련된 한문 실력) 백제: 박사제도/ 개로왕 국서/ 사택지적비문/ 일본에 한학 전수 신라: 진흥왕 순수비/ 임신서기석/ 이두 사용(이두, 향찰: 한문의 토착화) |
역사 편찬 | 고구려: 유기 100권 영양왕 이문진 신집 5권 (600년/수나라와 항쟁 상황에서 편찬/ 도교, 전통종교 회복하려한 지배집단 입장반영) 백제: 근초고왕 고흥 서기/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신라: 진흥왕 거칠부 국사(왕위계승 관계 정리, 국왕의 정통성 강화, 중앙집권적 율령정치의 정당성) 가야: 개황록 |
불교 | 중앙집권체제 확립과 지방세력 통합하기 위해 불교 수용 호국신앙 성격(인왕경, 백고좌회, 무왕 미륵사 왕흥사, 진흥 황룡사, 선덕 황룡사 9층 목탑) 고구려, 백제- 국가적 요소, 샤머니즘적 요소 약함(이미 고대문화 기준 확립된 상태) 신라- 샤머니즘적 요소 강함, 불교 정치적 활용(북방 불교 유입, 사회 문화적 후진성) 고구려: 372 소수림왕, 전진 부견, 순도 초기 격의 불교 유입(도교 사상 통해 불교 이해) 삼론종 발달(승랑, 혜관, 도징), 후기 열반종 유행(보덕-백제에 전함), 천태종 유입 백제: 384 침류왕, 동진, 마라난타 겸익 인도에 구법, 백제 계율종의 시조 말기 고구려 삼론종 유행 일본 불교 전파에 기여(노리사치계-불교 전파, 관륵-불교, 천문지리, 둔갑방술 전파) 신라: 527 법흥왕, 이차돈 cf) 눌지- 묵호자, 소지- 아도 불교 전함 진흥왕 혜량 국통/ 진평왕 원광 성실종, 열반종 드려옴/ 자장 계율종 개창 |
도교 | 산천숭배, 신성사상과 결합/ 귀족 중심 수용 고구려 : 사신도, 영류왕 대 당에서 도덕경 들여옴, 보장왕 때 국가 종교화 (보덕: 도교에 대항하여 열반종 개창) 백제: 사택지적비(구양순체의 사륙변려문, 법화사상 반영)/ 금동대향로/ 무령왕 지석/ 산수무늬벽돌 |
고분 | 고구려: 돌무지 무덤(석총/ 장군총) → 굴식 돌방 무덤(토총/ 무용총, 쌍용총): 벽, 천장에 벽화/ 초기 무덤주인의 생활상 → 점차 추상화 백제: 계단식 돌무지 무덤(석촌동) → 벽돌무덤(무령왕릉-송산리고분군) → 굴식 돌방무덤(능산리 고분군)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천마총/ 도굴이 어려움) →통일 이후 굴식돌방무덤(둘레돌, 12지 신상) |
건축 | 고구려: 안학궁(장수왕), 목탑 위주여서 남은 것 없음 백제: 미륵사(무왕), 미륵사지 석탑(목탑모양), 정림사지 5층 석탑 신라: 안압지, 황룡사 9층 목탑(선덕), 분황사(선덕) cf)황룡사- 진흥왕 |
기술학 | 천문학- 첨성대(선덕)/ 고구려 고분벽화 별자리 그림(나라현 기토라고분-평양 관측) 금속주조술-고구려 철제무기/ 백제 칠지도, 금동대향로 |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오늘은 삼국시대 문화에 대해 각 종교, 기술, 건축 등의 분야로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1부 -통일신라 왕 계보 (20) | 2022.03.19 |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사회 (6) | 2022.03.19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경제 (12) | 2022.03.13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 간 국제 관계 (24) | 2022.03.12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 연표(연표 총 정리) (34)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