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사회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시대의 사회

오늘내일모레 2022. 3. 19. 09:19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사회 분야의 경우 다양한 분야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도록 공백을 남겨두는 것이 좋을 듯합 니다.

 

 

오늘은 삼국시대의 사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대 사회 → 부족통합→ 중앙집권 국가 성립 

부족 통합 과정에서 위계서열 발생 
대가/ 가 → 귀족으로 편입

 

1. 고대 사회의 신분

- 귀족:

최고 지배층, 귀족회의 운영

백제 16관품 - 세 계열(솔, 덕, 무명) 복색 다름 ⇒ 귀족 간 신분적 구별

고구려 5관등 조의두대형 이상 기밀사무 참여, 신라 골품제 

 

- 평민:

농민, 자유민 

상층부: 수도의 평민, 수취 부담 적음(신라의 1,2,3두품, 고구려의 경우 행정 군사 요원 취임 가능)

중층부: 자영농, 조세 국역 부담

하층부: 집단예민, 무전농민, 향 부곡민

 

- 천민:

왕실, 귀족, 관청에 예속

잡역 맡거나 경작

전쟁노비의 경우 통일 이후 점차 소멸

 

 

2. 고대 사회의 구휼책: 농민 구제 → 국가 재정, 국방력 유지, 귀족세력 확대 방지

신라: 정전 지급

고구려: 194년 진대법(고국천왕)- 을파소/ 춘궁기에 곡식빌려 추수 뒤에 갚게 하는 법

 

728x90

3. 신라의 화랑도 

- 원시 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기원

- 귀족 자제 중에서 선발된 화랑을 신분을 막론한 젊은 낭도들이 따르며 같은 활동을 함으로써 계층 간 대립과 갈등을 완화하는 구실

- 전통의식: 제천의식, 사냥, 전쟁 + 풍류 사상

- 세속오계: 원광법사/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이번 시간에는 삼국시대 사회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삼국의 신분제도, 구휼책, 신라의 화랑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