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오늘은 개항과 불평등 조약 체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근현대사 노트 정리 팁도 참고하세요!
Ⅱ. 근대 사회의 전개
4) 개항과 불평등 조약 체제
73 고종 친정 시작- 민씨 정권 장악 (민씨 정권- 황후 일족, 노록 북학 계승)
민씨 정권: 유생 포섭, 조세 각종 부과금 감면, 청과 외교관계 지속, 개방정책 추진(박규수 등 통상 개화론자)
cf) 1868 일본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과 관계 - 서계 수리 문제: 신일본 정부 국교 요청: 일본-황조, 일왕-황상, 일왕의 명-칙 표현, 도서 없이 새로 만든 도장 사용 → 동래 부사 서계 수리 거부 - 정한론: 73 요시다 쇼인 중심 근대화 과정에서 낙오한 일본 무사들의 관심을 해외로 돌리고자 함 cf) 이와쿠라 도모미,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등 내치 우선 강조 |
지난 차시에 말씀드린 것 처럼 주요 사건들을 머리 속에 구조화하기 위해 what(사건명), who(일으킨 사람, 관련 인물), when(시기), where(장소), how(어떻게), why(왜 일으켰나)를 구분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what(사건) | 운요호사건 |
who(주체) | 일본- 조선 |
when(시기) | 1875 |
why(이유) | 일본: 교린관계 → 근대적 국교 관계로 전환하고자 1874 서계 제시 → 조선 응하지 않음 조선: 서계 일본 황제 칭, 조선에서 보내준 도장 사용하지 않음 74 유구인 살해사건, 정한론 등으로 경계 |
how (방법, 과정) |
1875. 4. 춘일호 운양호, 제이정묘호 파견 운양호, 정묘호 함포사격 75. 5 운양호 함경도까지 북상 → 돌아감 75. 8 운양호 다시 강화도 침입(초지진) - 식수 얻고자 함 76.1 운양호사건 논의 → 구로다 기요다카, 신헌 : 76. 2 강화도조약(조일 수호 조규) |
728x90
what(사건) | 강화도조약 |
who(주체) | 일본- 조선 |
when(시기) | 1876. 2.27 |
why(이유) | 민씨 정권의 개화정책, 박규수 등 통상개화론 일본: 정한론 대두, 서계 수리 문제 → 1875 운요호 사건 : 직접적인 원인 |
how (방법, 과정) |
신헌- 구로다 기요다카 내용: 1관 조선은 자주국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 보유- 청의 간섭 배제 2,3관 교섭절차, 격식 규정 4,5관 부산 외 2개 항구를 개항하고 일본이 왕래 통상함을 허가함- 부산, 인천, 원산 개항 → 무역, 군사거점 6관 조선으로 항해하는 일본 선박이 조난 당했을 때 구호 규정 7관 조선국은 일본국의 항해자가 자유로이 해안을 측량 허가함 8,9,10관 일본국 인민이 조선국의 지정항구에서 죄를 범한 경우 일본국 관원이 재판함 -치외법권 인정 11관 이후 보충규정 12관 효력 발생 |
+ 수호 조규 부록(76.8.4):
일본 외교관의 자유로운 국내 여행, 개항장에서의 일본 거류민 거주 지역 설정
개항장 내 일본 화폐 유통 허용
조일 수호 통상 장정(76.8.4):
무관세(일본 수출입상품), 무항세(일본 상선), 양곡의 무제한 유출
구미 열강과의 수교 1882 조미수호통상조약: 신헌- 슈펠트/ 거중조정, 최혜국대우, 관세 조항 조선책략, 이홍장 주선(일본의 조선 침투, 러시아 남하 우려) 1883 조영수호통상조약: 조계 내 토지 가옥의 임차 구매, 창고와 공장 설립 조계 밖 10리까지 외국인 토지 소유 허용 84 이탈리아 러시아(베베르 공사 파견) 86 프랑스(천주교 포교 자유) 92 오스트리아 1901 벨기에 1902 덴마크 |
조청상민수륙무역 장정(82.8): 조선-청 속방 명시 영사 재판권 서울과 양화진 개잔 청 상인의 내지 통상권 연안 어업권, 연안 무역권 청 군항의 항해권 허용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이번 차시에서는 개항과 불평등 조약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운요호사건, 강화도 조약, 구미 열강과 개항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개화정책의 추진, 임오군란 (18) | 2022.03.09 |
---|---|
[근현대사] 개화세력의 대두 (17) | 2022.03.08 |
[근현대사]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 근현대사 노트 정리 팁) (12) | 2022.02.28 |
[근현대사] 흥선대원군 집권 전후의 상황과 흥선대원군의 정책 (+단권화 노트 정리 팁) (19) | 2022.02.27 |
[근현대사 연표] 1940년대부터 1997년대까지 (공부 팁 포함)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