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불교, 도교, 미술 본문
728x90
728x90
불교
태조: 도첩제 실시(허가증 낸 사람만 출가 허용), 사원의 면세 혜택 폐지
태종: 사원 정리 작업, 각 종파별 사원, 사원전, 노비, 승려 수 제한
세종: 교단 정리 → 선, 교종 36개 사찰 인정
세조: 불교 중흥, 간경도감 설치, 원각사
성종: 도첩제 폐지(승려 진출 자체 폐지), 산간불교화
중종: 승과 폐지
명종: 문정왕후 지원, 보우 중용, 승과 부활
왜란: 승병 활약 → 불교 위상 새로이 함
도교
크게 위축
(조광조: 소격서 폐지, 제천 중단, 서울 장안에 무당살지 못하도록 함)
사원정리, 행사 줄어듦
초제- 참성단에서 시행, 소격서 관장, 국가 권위 높이는 제천행사
+ 풍수지리, 도참 중시 → 한양 천도에 반영
미술
건축 | 궁궐, 관아, 성문, 학교 등 중심 신분유지 → 건물주 신분에 따라 규모와 장식 제한 숭례문: 조선 독자적 건축 기술 개성 남대문, 평양 보통문: 고려 → 조선으로 발전하는 형태 불교- 무위사 극락전, 해인사 장경판전, 세조 원각사지 10층석탑(경천사탑 모방, 라마교 영향) 서원- 자연경관과 조화 중시/ 강당 중심 - 동재(사당), 서재(기숙사)/ 가람배치 양식과 주택양식의 실용적결합 |
공예 | 도자기- 조선 초 분청사기(청자에 백토분칠하는 것), 옹기(서민적, 실용적) → 16세기 사림 등장 - 백자 유행 + 목공예: 돗자리공예, 자개 공예 등 |
그림 | 15세기 도화서의 그림: 안견의 <몽유도원도> 문인화: 강희안 <고사관수도> → 16세기 다양한 화풍 발달 - 사군자, 산수화 등 이상좌- 송하보월도 신사임당- 여성 관련 그림, 초충도 |
서예 | 안평대군 '송설체', 양사언 '초서', 한호 '석봉체'(왕희지체+고유예술성) |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문화(성리학의 한계, 과학기술) (3) | 2022.12.27 |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음악, 문학 (4) | 2022.12.26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전 (4) | 2022.12.24 |
[조선시대사] 조선 초 기술(천문학,의학, 농업, 인쇄술, 제지술 등) (3) | 2022.12.23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화- 한글창제, 역사서, 지도, 지리지, 의례서, 법전 (2)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