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불교, 도교, 미술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불교, 도교, 미술

오늘내일모레 2022. 12. 25. 10:10
728x90
728x90

불교

태조: 도첩제 실시(허가증 낸 사람만 출가 허용), 사원의 면세 혜택 폐지

태종: 사원 정리 작업, 각 종파별 사원, 사원전, 노비, 승려 수 제한

세종: 교단 정리 → 선, 교종 36개 사찰 인정

세조: 불교 중흥, 간경도감 설치, 원각사

성종: 도첩제 폐지(승려 진출 자체 폐지), 산간불교화

중종: 승과 폐지

명종: 문정왕후 지원, 보우 중용, 승과 부활

 왜란: 승병 활약 → 불교 위상 새로이 함

 

도교

크게 위축

(조광조: 소격서 폐지, 제천 중단, 서울 장안에 무당살지 못하도록 함)

사원정리, 행사 줄어듦

초제- 참성단에서 시행, 소격서 관장, 국가 권위 높이는 제천행사

+ 풍수지리, 도참 중시 → 한양 천도에 반영

 

 

미술

건축 궁궐, 관아, 성문, 학교 등 중심
신분유지 → 건물주 신분에 따라 규모와 장식 제한

숭례문: 조선 독자적 건축 기술
개성 남대문, 평양 보통문: 고려 → 조선으로 발전하는 형태


불교- 무위사 극락전, 해인사 장경판전, 세조 원각사지 10층석탑(경천사탑 모방, 라마교 영향)
서원- 자연경관과 조화 중시/ 강당 중심 - 동재(사당), 서재(기숙사)/ 가람배치 양식과 주택양식의 실용적결합
공예 도자기- 조선 초 분청사기(청자에 백토분칠하는 것), 옹기(서민적, 실용적)
→ 16세기 사림 등장 - 백자 유행

+ 목공예: 돗자리공예, 자개 공예 등 
그림 15세기 
도화서의 그림: 안견의 <몽유도원도>
문인화: 강희안 <고사관수도>

→ 16세기 다양한 화풍 발달 - 사군자, 산수화 등
     이상좌- 송하보월도
    신사임당- 여성 관련 그림, 초충도
서예 안평대군 '송설체', 양사언 '초서', 한호 '석봉체'(왕희지체+고유예술성)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