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순조, 헌종, 철종 세도정치 시기의 정치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순조, 헌종, 철종 세도정치 시기의 정치

오늘내일모레 2022. 12. 7. 10:20
728x90
728x90

순조(1800-1834)

: 정조가 시파 김조순에게 맡겼음

즉위 이후 정순왕후 수렴청정

 → 벽파 권력 잡음, 신유박해(1801)

  : 벽파의 남인, 소론, 시파에 대한 정치적 공세

    당시 농민항쟁에 대해 공포정치 강행

    외부 천주교 앞세운 서양 세력에 대한 경계

  → 규장각 인물 제거, 장용영 혁파, 훈련도감 정상화 (정조의 개혁 물거품됨) 

 

정순왕후 사망 → 안동김씨 가문 정국 주도 

세도정치: 가문 일변도 정치, 붕당정치 완전히 파탄난 형태

 

- 무예청 설치, 5위 강화

- 만기요람 편찬

- 효명세자 대리청정으로 왕권강화 도모 (but 사망)

- 영국 배 로드 암허스트호(1832)

- 홍경래의 난(1811)

 

 

*세도정치 시기의 정치, 사회


정치:

세도가의 정권 장악
남인, 소론, 선비 정계 배제
세도가문이 고관직 장악, 비변사에서 독점적 운영
정2품 이외 관직, 의정부, 6조 유명무실(의정부- 의례정도 담당, 6조-비변사에서 결정된 사항 시행, 3사-비판기능 비변사에 흡수)
사회변화 대응에 소극적
농촌사회 붕괴 → 근본적 대책 세우지 못함


사회:
과거제- 온갖 비리(급제자 남발, 뇌물, 연줄)
매관매직 성행
비리로 입사한 관리 → 백성에게 수탈 → 농촌사회 파탄
삼정의 문란
각종 재난(1820년 수해, 콜레라) 
→ 비기, 도참설 유행

 

헌종(1834-1849): 조인영 중심 풍양조씨 세도

- 내영 설치

- 초계문신제 재 도입

- 기해박해, 김대건 순교

 

철종(1849-1863): 풍양 조씨, 안동 김씨 간 권력 다툼 → 왕실 의례상 전례문제(신해예송) →안동김씨 승리

안동김씨 강화

임술농민봉기(1862)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