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조선의 교육기관
- 서당: 문자, 기초적 유학지식 습득
- 4부학당: 중앙 / 기본적 유교경전 공부
- 향교: 지방/ 기본적 유교 경전 공부
- 성균관: 최고 국립교육기관/ 소과에 합격한 생원 진사, 4학생도, 공훈신의 자제, 하급 관리 입학
조선의 과거제도
정도전- 입관보리법: 문음, 문, 무, 의, 음양, 역, 이 (의, 음양, 역, 이 → 이후 잡과로 정비)
- 문과
소과 | - 초시: 한성시, 향시 - 복시: 예조 주관 → 백패/ 대과 응시 자격인 생원, 진사 칭호 얻음 초급 문관 임명 자격 성균관 입학 |
대과 | - 생원, 진사, 성균관생 응시 - 대과 응시시 호적, 보단자 제출 - 초시: 향시, 관시(성균관시), 한성시 - 복시: 성적순 33명 - 전시: 갑, 을, 병 3과로 나눔 → 홍패/ 실직얻음 |
생원: 4서 5경(명경과)
진사: 시부(제술과)
cf) 문과- 역적의 자손, 탐관오리의 아들, 재가녀의 자손, 서얼 응시 불가
cf) 고려: 국자감시- 예부시- 친시(복시)
728x90
- 무과: 초시(훈련원시, 향시) - 복시(병조 주관) - 전시 (갑, 을, 병)
- 잡과: 3년에 1회/ 초시- 복시/ 해당관청에서 실시
사역원(역과), 전의감(의과), 형조 고율사(율과), 관상감(음양과)
산학, 서학, 악학, 도학- 취재로 뽑음(호조, 도화서, 장악원, 소격서 담당)
- 과거 시험의 시행 시기:
식년시- 정기 3년에 1번
증광시- 국가 경사
알성시- 문묘 재래시
별시
cf) 증광시, 알성시 등 부정기시 점차 증설 → 과거제도 부패, 양반사회 붕괴 요인 중 하나가 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군사제도의 변화 (1) | 2022.09.30 |
---|---|
[조선시대사] 조선 초기 군사제도 정리 (4) | 2022.09.29 |
[조선시대사] 조선의 지방통치제도 (9) | 2022.08.24 |
[조선시대사] 조선의 중앙정치체제(통치기구, 관직, 중앙관제 특징) (6) | 2022.08.23 |
[조선시대사] 조선 예종, 성종의 정책 (3)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