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군사제도의 변화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군사제도의 변화

오늘내일모레 2022. 9. 30. 10:55
728x90
728x90

제승방략체제

: 임진왜란으로 한계점

→ 진관 복귀, 군제 개편 작업

중앙군
- 5군영제: 
선조 훈련도감 신설- 포수, 살수, 사수(삼수병)
인조 총융청 -이괄의 난 해결, 서남
        수어청- 남한산성, 동남
        어영청- 수도 국왕 호위, 효종 때 북벌 실시로 강화(총포병, 기병)
숙종 금위영- 수도 국왕 호위 


지방군
- 속오군 체제:
예비군 성격, 전신분에 해당 
양반 군역 기피 상민, 천민
전담영장제(수령의 행정, 군사권 분리)   겸영장제(효종, 수령이 전담)
비변사:

임진왜란 계기로 국정운영중심기관으로 자리 잡음 의정부, 6조 유명무실해짐

변천과정: 
성종 지변사 재상
성종- 중종 변방 소요 많아짐 지변사 재상 모임 제도화
임진왜란 발발 이후 국영총괄, 전현직 대신, 6조 당상 모여 국가 중요 정책, 6조 업무 협의

이후 지속됨
 이유?
- 조선 후기 사회변동에 능동적 대처 가능(구관당상제- 업무의 연속성)
- 사림정치의 전개와 관련(삼사- 명분론, 비변사- 현실론 견제구도   삼사의 언론 비변사에 반영)

17세기 비변사 체제 제조체제 18세기 도제조체제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