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의 중앙정치체제(통치기구, 관직, 중앙관제 특징)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의 중앙정치체제(통치기구, 관직, 중앙관제 특징)

오늘내일모레 2022. 8. 23. 10:56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조선의 중앙정치체제

 

통치기구

의정부 재상 합의로 국정총괄 

cf) 6조직계제 하에서는 자문기관
6조 이조: 문반 인사, 공훈, 봉작
호조: 조세, 조운, 경제
예조: 예약, 제사, 외교, 교육, 과거
병조: 국방, 병사, 무반인사
형조: 법, 노비
공조: 파발, 건축, 수공업
삼사 사헌부: 감찰, 서경
사간원: 간청, 봉박
→ 대간

홍문관: 경연, 자문
의금부 국왕직속 사법기관
4관 승문원: 외교문서
교서관: 경적 간행
성균관: 고등교육기관
예문관: 국왕교서제찬(고급관원), 국무회의에 참여하여 사초 작성(하급 관원)
춘추관 역사 편찬 보관
<<등록>>모아 해마다 <<시정기>> 편찬
실록 편찬되면 보관
한성부 서울 행정, 치안 담당
승정원 왕명출납

원상제도: 국왕 어리거나 병났을 때 원임, 시임 대신을 원상으로 임명하여 승정원에서 중대사 사무하게 함 

 

 

관직

: 정1품-종9품

18관등으로 구성

6품 이상 상하위로 나눠짐 

경관직, 외관직 나눠짐

→ 30개 계선

cf) 무반- 12품

- 정3품 상위(통정대부, 절충장군)
   →당상관: 의결, 군사, 인사, 포폄, 고시, 권한/ 관찰사, 중요 정책 결정 참여/ 순자법, 상피제 구애받지 않음
- 정3품 하위(통훈대부, 어모장군)
   → 당하관

- 6품 이상 → 참상관: 조회 참석 기준, 수령 가능
- 7품 이하 → 참하관

 

728x90

중앙관제 특징

1. 겸직제: 정치권력 고관에게 집중하고자

2. 대가제: 품계- 자, 손, 질, 제 등에게 줄 수 있게 

3. 한품서용: 신분에 따른 품계 제한

    서얼, 기술관- 정3품/ 토관, 향리- 정5품/ 서리, 기타 - 정7품

    서얼- 문과 응시X, 재가녀 자손 고관 승진X

 

4. 음서 축소

    2품 이상: 자, 손,  서, 제, 질 허용

    3품 : 자, 손만 허용 

 

5. 순자법: 근무기간 정하고 근무성적 평가하는 포폄과정 거쳐 승진 결정

6. 행수제도: 계고직비(품계는 높고 관직은 낮음)- 관직 앞에 행자를 붙임

                    계고직고(품계는 높고 관직은 높음) 관직 앞에  수자를 붙임

 

7. 상피제도: 일정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과 같은 관부나 밀접한 관부에 임용하지 않음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