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의 중앙정치체제(통치기구, 관직, 중앙관제 특징) 본문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조선의 중앙정치체제
통치기구
의정부 | 재상 합의로 국정총괄 cf) 6조직계제 하에서는 자문기관 |
6조 | 이조: 문반 인사, 공훈, 봉작 호조: 조세, 조운, 경제 예조: 예약, 제사, 외교, 교육, 과거 병조: 국방, 병사, 무반인사 형조: 법, 노비 공조: 파발, 건축, 수공업 |
삼사 | 사헌부: 감찰, 서경 사간원: 간청, 봉박 → 대간 홍문관: 경연, 자문 |
의금부 | 국왕직속 사법기관 |
4관 | 승문원: 외교문서 교서관: 경적 간행 성균관: 고등교육기관 예문관: 국왕교서제찬(고급관원), 국무회의에 참여하여 사초 작성(하급 관원) |
춘추관 | 역사 편찬 보관 <<등록>>모아 해마다 <<시정기>> 편찬 실록 편찬되면 보관 |
한성부 | 서울 행정, 치안 담당 |
승정원 | 왕명출납 원상제도: 국왕 어리거나 병났을 때 원임, 시임 대신을 원상으로 임명하여 승정원에서 중대사 사무하게 함 |
관직
: 정1품-종9품
18관등으로 구성
6품 이상 상하위로 나눠짐
경관직, 외관직 나눠짐
→ 30개 계선
cf) 무반- 12품
- 정3품 상위(통정대부, 절충장군)
→당상관: 의결, 군사, 인사, 포폄, 고시, 권한/ 관찰사, 중요 정책 결정 참여/ 순자법, 상피제 구애받지 않음
- 정3품 하위(통훈대부, 어모장군)
→ 당하관
- 6품 이상 → 참상관: 조회 참석 기준, 수령 가능
- 7품 이하 → 참하관
728x90
중앙관제 특징
1. 겸직제: 정치권력 고관에게 집중하고자
2. 대가제: 품계- 자, 손, 질, 제 등에게 줄 수 있게
3. 한품서용: 신분에 따른 품계 제한
서얼, 기술관- 정3품/ 토관, 향리- 정5품/ 서리, 기타 - 정7품
서얼- 문과 응시X, 재가녀 자손 고관 승진X
4. 음서 축소
2품 이상: 자, 손, 서, 제, 질 허용
3품 : 자, 손만 허용
5. 순자법: 근무기간 정하고 근무성적 평가하는 포폄과정 거쳐 승진 결정
6. 행수제도: 계고직비(품계는 높고 관직은 낮음)- 관직 앞에 행자를 붙임
계고직고(품계는 높고 관직은 높음) 관직 앞에 수자를 붙임
7. 상피제도: 일정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과 같은 관부나 밀접한 관부에 임용하지 않음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의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3) | 2022.09.15 |
---|---|
[조선시대사] 조선의 지방통치제도 (9) | 2022.08.24 |
[조선시대사] 조선 예종, 성종의 정책 (3) | 2022.08.20 |
[조선시대사] 조선 세조의 정책 (1) | 2022.08.19 |
[조선시대사] 조선 세종, 문종, 단종의 정책 (8)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