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애국계몽운동의 전개,의의, 한계와 신민회의 활동

by 오늘내일모레 2022. 4. 17.
728x90
728x90

Ⅱ-3.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4)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1.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what 애국계몽운동
who 개명(明: 새로운 사상을 가지게 됨)관료층, 지식인층, 자산가층 주도
when 을사조약 전후
why 경쟁위주의 현실 인식
국권 상실의 원인: 대중의 우매함이라 파악

→ 대중 계몽을 통한 실력 양성이 국권 회복의 길이라고 봄
how 주로 교육활동, 언론활동, 식산흥업활동 등으로 전개됨

1) 단체

- 보안회(1904-5)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 일본 측 압력으로 해산

- 헌정연구회(1905.5): 정치 의식 고취와 입헌정체 수립 목적

- 대한자강회(1906.4)
  : 교육 진흥, 산업개발, 월보간행, 강연회 개최 등 국권회복운동 전개(정치운동보다는 문화운동에 치중)
    1907 해산(고종의 양위와 정미7조약 반대운동 가열 계기)

cf) 1907 신문지법, 보안법- 반일 정치 활동 탄압

- 대한협회(1907)
  : 자강회 간부, 천도교 지도자 중심으로 설립, 실력양성운동, 
   초기 애국인 단체 → 점차 친일적 색채↑


2) 교육활동

- 교육단체: 서북학회, 호서학회, 청년학우회, 호남학회, 국민교육회, 기호흥학회, 관동학회 등 
  → 민족사상 고취, 애국지사 양성 목적

- 사립학교 설립 ↑   애국심 고양


3) 식산흥업활동

- 상공회의소, 협동회의소 등 단체   상권 보호운동

- 상회사, 공장, 농회, 농장, 실업학교 등 설립


4) 언론, 출판 활동

- 대한매일신보 : 양기탁, 박은식, 신채호/ 일제 침략상 폭로

- 황성신문: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1905.11.28.): 을사조약의 부당함

- 위인전, 역사, 지리, 국어책 간행              

728x90

2. 신민회

what 신민회
who
- 대한매일신보 관계 계몽운동가, 서울 서북지역 신흥 상공인 등 사회 각층 인사

- 대표적: 장지연, 박은식, 신채호, 이승훈, 이회영, 안창호, 양기탁, 이동휘, 이동녕 등

when 1907 조직, 1911 무너짐
why 일제의 탄압으로 합법적인 계몽운동 어려워짐
  비밀리에 신민회 조직 
how
- 목표: 국권회복, 공화정 체제에 기초한 국민국가 건설

- 형식: 비밀결사 형태

- 활동: 문화적, 경제적 실력양성운동
  1) 교육: 정주 오산학교, 평양 대성학교 세움/ 강연회, 학회 활동, 출판물보급
  2) 경제:
    평양- 자기회사, 협성동사, 상무동사 설립(민족자본 융성, 재원 확보)
    평양, 대구, 서울- 태극서관(유인물 출판 공급 목적으로 한 서점)

- 한일 합방 전후 운동 방법 둘러싸고 두 계통으로 나눠짐
  -안창호 중심: 계몽운동, 실력양성운동   합방 이후 미국가서 흥사단 조직
  -이동휘 중심: 무장저항운동 주장 만주, 시베리아로 가서 무장투쟁운동, 사회주의 운동

- 1910. 12월 서간도 이주와 무관학교 창설 결의 - 신흥무관학교 세움, 만주 독립기지 설립

- 1911. 105인사건 - 일제: 서북지역 기독교인 제거 목적, 데라우치 암살계획 혐의로 105인 기소 
  이 과정에서 신민회 조직 드러나 일제에의해해산

cf) 안악사건: 안명근 무관학교 설립위해 기부금 모금 → 일제: 데라우치 암살 위한 군자금으로 날조   황해도 유력 인사 검거  

728x90

※ 애국계몽운동의 의의와 한계

- 의의: 

1) 국민과 민중의 발견

2) 제국주의 침략 격퇴하고 국권 회복하고자 함

3) 반봉건주의, 왕권에 대한 부정, 국민주권주의 인식

 

- 한계:

1) 사회진화론의 강자의 약자에 대한 지배, 착취, 제국주의 합리화 논리 긍정 - 주체들의 사상적 한계

2) 정치 투쟁이나 무장투쟁 포기(의병전쟁에 대해 적대적 태도)

3) 타협적 태도(일본의 보호국이 되는 것이 오히려 문명 진보를 위해 이롭다는 주장으로 전개)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오늘은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애국계몽단체, 신민회, 애국계몽운동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