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능 한국사 (24)
역사로 보는 세상

2022년도 3월 24일 출제된 모의고사 3학년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12번 문항입니다. 중일전쟁 이후 일제가 자행한 수탈을 물어보고있습니다. 중일전쟁 이후 인적, 물적 자원 수탈에 관련된 내용을 찾으면 되겠습니다. 징용, 징병, 일본군 '위안부' 관련된 내용이 지문에 나올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① 한미상호방위조약문- 6.25전쟁 이후 ② 박문국에서 발행한 신문- 박문국 1883년 설립 ③ 징용에 동원된 한국인 명부- 1930-40년대 ④ 토지 소유주에게 발급된 지계- 광무개혁 ⑤ 물산장려 운동을 홍보하는 포스터- 1920년대 답은 3번입니다. 13번 문항입니다. 구식군인이 봉기, 왕궁 및 일본 공사관 습격, 별기군 교관의 죽음 등으로 보아 임오군란(1882임을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①..

2022년도 3월 24일 출제된 모의고사 3학년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1번 문항입니다. 비파형동검, 고인돌이 등장하였네요. 청동기 시대이겠죠. ① 국가가 성립.- 청동기/ 고조선 ② 골품제가 운영- 신라 ③ 풍수지리설 유행- 툭히 통일신라 말 ④ 주먹도끼 - 구석기 ⑤ 인삼 등 상품작물 재배- 조선 후기 답은 1번입니다. 2번 문항입니다.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를 도입하였으며 과거제를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고 하므로 고려 광종이겠죠. ① 대동법 실시 - 광해군 이후 ② 노비안검법 시행 - 고려 광종 ③ 6조 직계제 마련- 태종, 세조 ④ 전민변정도감 설치- 고려 공민왕 ⑤ 9주 5소경 체제 완비- 통일신라 신문왕 답은 2번입니다. 노비안검법 실시와 과거제를 통해 호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

24일 모의평가가 끝나고 나서야 이 글을 마무리하게 되네요! 14번 문항입니다. 일제의 통치 내용를 주제로 선정하고 헌병 경찰의 권한, 토지 조사 사업 등을 이야기합니다.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방식을 떠올리면 됩니다. ① 헌의 6조- 1898년 독립협회 관민공동회에서 결의 ② 장용영 설치- 조선 정조 ③ 대한국 국제- 1899 대한제국 ④ 조선 태형령- 1910년대 일본의 통치 ⑤ 유신 헌법 제정- 1972 박정희 정권 답은 4번입니다 15번 문항입니다. (가) 지역의 독립운동을 조사하면서 신한촌, 권업회, 대한 국민 의회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명칭들은 다 연해주 지역과 관련된 독립운동입니다. ① 신라방 - 당나라 때 신라인 거주지 ② 청해진 건설- 통일신라 장보고, 완도 ③ 백두산 정계비- ..

오늘은 2021학년도 3월 모의평가 한국사 근대사 11번-13번까지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번 문항입니다. 지문을 읽어보니 '임금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고 있으며'라는 말이 나옵니다. 아관파천(1896-97)을 의미하겠죠.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간 것이 아관파천이며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라는 내외의 압력에 따라 환궁하고 대한제국을 수립하였던 사실을 이해하면 연도를 외우지 않더라도 풀 수 있습니다. ① 병인양요 1866 -강화도조약 1876 ② 강화도조약 1876-을미사변 1895 ③ 을미사변 1895- 대한제국 수립 1897 ④ 대한제국 수립 1897 -국권피탈 1910 ⑤ 국권피탈 1910- 3.1운동 1919 답은 3번입니다. 12번 문항입니다. (가)..

오늘은 2021년도 3월 모평 한국사 조선시대 7-10번까지를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7번 문항입니다. 조선 초 왕위 계보표가 나오고 왕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조선 왕조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을 외쳐본다면 (가)는 태종, (나)는 세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 중에도 (가)는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했다는 내용과 (나)는 정변(계유정난)을 통해 단종을 쫓아내고 왕이 되었다는 내용에서 태종과 세조인 것을 짐작해볼 수 있겠습니다. ①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광해군부터 ② 별기군을 운영하였다.- 조선 고종 개화정책의 일환 ③ 골품제를 정비하였다.- 신라 ④ 6조 직계제를 시행하였다. - 태종, 세조 ⑤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고려 공민왕 답은 4번입니다. 가끔씩 ..

4번 문항입니다. (가)가 후백제의 공격을 받았고, (가)의 후삼국 통일이라고 설명되었으므로 (가)왕는 고려 태조인 왕건이 되겠습니다. ① 수원 화성을 축조하였다.-조선 정조 ② 사심관 제도를 실시하였다. -고려 태조 ③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였다. - 1895 ④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백제 무령왕 ⑤ 9주 5소경 제도를 마련하였다. - 통일신라 신문왕 답은 2번입니다. 고려 태조의 정책 - 호족 포섭, 견제 정책: 성씨 하사, 결혼정책, 사심관제도, 기인제도 - 민생안정책: 세금 감면 등 - 북진정책: 서경중시, 거란 견제 5번 문항입니다. 명학소, 고이 부곡 등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향, 소, 부곡이 특수행정구역로 남아 있었던 고려시대 입니다. ① 형평 운동에 참여하는 백정- 19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