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6월항쟁(전개과정), 6.29 민주화선언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6월항쟁(전개과정), 6.29 민주화선언

오늘내일모레 2023. 5. 2. 10:24
728x90
728x90
6월 항쟁 이전 민주화운동

- 정치인: 김영삼 단식투쟁/ 84 민주화추진협의회(정치인, 재야인사 참여)/ 85 신한민주당
 
- 학생운동: 83 학원자율화로 인해 폭발/ 전국학생총연합, 반미운동 등  

 

6월 항쟁

- 발단이 된 사건: 86 부천경찰서성고문사건(권인숙)
87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 저항의 움직임 ↑, 직선제 개헌운동
- 전개: 전두환:
87. 4 4.13 호헌조치 발표 : 헌법유지한채 선거 치르겠다

→ 저항의 움직임
5.18 민주화총진영 집결- 직선제 개헌 요구
6.9 이한열 - 최루탄
6.10 민주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 박종철 고문살인 조작 은폐 규탄, 호헌철폐 요구

6.26 민주헌법 쟁취 국민평화대행진- 호헌철폐, 민주헌법 쟁취, 독재타도 요구

→ 6.29 민주화 선언:
민정당 차기 대통령 후보 노태우
대통령 직선제 개헌, 구속인사 석방(김대중) 등 8개항 시국수습 방안
-6월 항쟁 의의 : 반군사 독재민주화운동으로 전국에서 4-5백만명 참여
3주동안 집회, 시위 농성
cf) 부마항쟁, 광주항쟁: 일부지역, 단기간

7-9월 전국적 노동운동으로 연결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