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근현대사] 박정희 정권 3(시간순 정리)- 유신체제 저항, 10.26사태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근현대사 임용고시 노트

[근현대사] 박정희 정권 3(시간순 정리)- 유신체제 저항, 10.26사태

오늘내일모레 2023. 3. 29. 10:29
728x90
728x90

- 유신체제에 대한 저항

  민주화운동(학생, 시민, 재야세력) 정부
73년 8월 김대중납치사건
10월 서울대 문리대학생 유신반대 시위
12월 개헌청원 1백만명 서명운동(장준하, 백기완 등)
 
74년

11월 언론자유실천운동(민주회복 국민회의, 양심범 가족협의회,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자유실천문인협회)
이에 대해 정부: 
1월 긴급조치 1호, 2호
4월 민청학련사건(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 긴급조치 4호
75년  3.1 민주국민헌장

3.1 민주구국선언
: 윤보선, 함석헌, 김대중, 문익환 등/
재야 인사들 명동성당에서 긴급조치 철폐, 민주인사 학생 석방, 박정희정권 퇴진, 민주통일 추구 
민주화운동에 대해 정부는 긴급조치 9호 발동, 4월 학도호국단 조직
77년 민주구국헌장  
78년   7월9대 대통령 취임- 통일주체국민회의 통해

12월 국회의원 선거 - 신민당 득표율이 공화당보다 높았음
79년 5월 김영삼- 신민당 총재

8월 YH무역사건
-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벌이다가 옥상 위에서 떨어져 죽음→ 반독재투쟁 강화


10월 부마항쟁 
→ 마산, 창원에 위수령
10.26

10.26사태:
김재규(중앙정보부 부장)이
 박정희, 차지철(경호실장) 저격 → 유신체제 끝
                 

당시 상황:
국제- 79 2차 석유파동
         과잉탄압으로 국제 여론 악화
         77 미국 - 카터: 인권외교, 주한미군 철수 → 갈등 

국내- 중화학공업 과잉투자로 경제 불황 

 

728x90
300x250